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해
예방
방지
제한
금지
차단
억류
d라이브러리
"
저지
"(으)로 총 18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도 정부차원의 과학·기술진흥정책 추구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수 있는 병렬 컴퓨팅 연구□로체스터대(뉴욕)-빛과 화학반응 관계규명□러트거대(뉴
저지
)-통신, 교통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이론 컴퓨터 과학□버지니아대(블랙버그)-중합체 등 신소재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주로 환자들이 심심풀이로 한다.가장 빠른 공룡은 1981년 미국 텍사스주 크레타시어스
저지
에서 발견된 것. 공룡의 발자국으로 미루어 보아 시속 40㎞로 움직였을 것으로 추측된다.가장 빠른 세균은 막대모양으로 생긴 보델로비브리오 박테리오보라스. 이 세균에 부착된 극성 편모가 1초당 1백번 ... ...
이색동·식물과 민속자료를 한눈에 제두도 민속자연박물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목재의 샘플 및 종자의 형태로 보여주고 있다.제주도식물의 수직분포도는 바닷가와
저지
대의 난대식물로부터 온대식물 한대식물이 어떻게 분포돼 있는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해 준다. 특히 한라산은 단순고립봉(單純高立峰)이기 때문에 식물분포대가 뚜렷이 구분되어 식물생태학적으로 ... ...
사고에 의한 미사일피해 경고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소련의 미사일 사고에 의해 발사될 위험이 있고 현재의 미국의 요격체계는 이를 제대로
저지
할 수 없어 미국의 서해안과 동해안은 '위험지역'으로 남게되었다고 말했다.그런데 이런 사고에 의한 피해나 전쟁을 억제하려면 대기권밖에서 즉각 요격할 수 있는 체계가 수립돼야 하는데 이런 방위체계를 ... ...
자연 조형미의 극치 계림(桂林)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말라 동굴의 성장이 멈춘다. 이어서 그림 C의 단계가 되면 원추 카르스트 사이에 충적
저지
(沖積低地)가 넓어져 계강(桂江)과 같은 완만한 흐름이 유유히 흐르게 된다. 산봉우리는 거치른 바위 표면이 노출되기도 하지만 대개는 당나라시대의 시인이 '산은 벽옥 동곳같이…'라고 형용한 것 처럼 ... ...
특수견(犬)의 능력과 훈련모습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김포공항에서 폭발물이 터졌다. 특히 이 사건은 아시안게임 직전에 일어났기때문에 이를
저지
하려는 측이 장치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을 뿐 아무런 단서도 잡지 못해 사건자체가 아직 미궁에 빠져 있다. 불과 5개월전에 발생한 KAL기 공중폭발사건은 사망자수에서 앞서 있었던 사건들과는 비교도 ... ...
봄에 사람을 괴롭히는 화분증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되지 않을까를 검토하고 있다.이런 연구에 대한 궁극적인 회답은 먼저 lgE의 생성을
저지
하여 버리는 것이다. lgE가 없으면 알레르기반응은 일어날수 없다. 일부 연구진에서는 이미 lgE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두가지 물질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진은 그런 물질이 알레르기 환자에게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위대한 과학자 스티픈 호킹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것은 그 자체가 하나의 기적이라고 할만하다. 진리를 탐구하려는 강력한 의지가 죽음을
저지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늦게 계발된 지능호킹은 1942년 1월 8일 갈리레오가 죽은 뒤 꼭 3백년 되는 날에 옥스퍼드대학 출신의 양친에게서 태어났다. 생물학자인 부친은 장차 호킹을 옥스퍼드대학에 진학시킬 ... ...
시계의 발달②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침뿐 아니라 1670년경 초침의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것은 추의 낙하운동과 그
저지
를 보다 짧은 간격으로 조절하면 되는 문제였다.이들 짧은 간격을 재는 분침과 초침의 발견은 기계시계의 유용성을 더욱 높여주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시계의 장점이랄 수 있었던 것은 하루의 전부를 ... ...
전세계 350여마리뿐이라는 노랑부리 백로 1백여마리 서해 무인도에 숨어 살다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귀해진데다 먹이들이 농약에 오염됐기때문으로 보고있다.희귀한 새들이 사람들이
저지
르는 먹이오염과 무분별한 개발을 피해 스스로 외딴 무인도를 서식지로 선택했다는 것이다.또 학자들은 신도나 서해의 고도이긴하나 새의 알을 탐내는 사람들이 드나들수있다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