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궁금증 해결! 출동, 슈퍼M] 바코드는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세 자리는 물건을 만든 나라를 나타내는 코드, 그다음 여섯 자리는 물건을 만든 업체의 정보를 나타내는 번호, 다음 세 자리는 그 물건에 대한 정보, 마지막 한 자리 숫자는 바코드의 오류★를 검증하는 체크 숫자로 이뤄져 있어요. 마지막 자리의 체크 숫자는 바코드 판독기가 바코드를 읽을 때 ... ...
- 인공지능이 지켜준다, 스마트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개발한 분들을 만나 봤습니다. 교통사고를 예측할 수 있다? 경기도 안양시청 스마트도시정보과 사무실에 들어서자 한쪽 벽면에 가득한 실시간 CCTV 촬영 영상이 보였어요. 스마트사업팀의 윤정호 보좌관은 화면 속에서 사람이나 차량, 자전거가 지나갈 때 만들어지는 사각형 테두리를 가리키며 ... ...
- [과학 뉴스] 해냈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차세대중형위성 3호 등을 실어 네 차례 더 추가로 누리호를 발사할 예정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종호 장관은 “이번 발사는 누리호의 비행 성능을 확인하고, 우리의 우주 탐사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의미를 밝혔습니다 ... ...
- [4컷 만화] 나비는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15일 최초의 나비를 밝혀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90개국 2244종의 나비에서 생명의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물질인 DNA를 수집해 나비의 진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최초의 나비를 찾았어요. 이와 함께 나비의 이동 경로도 살폈지요. 그 결과, 연구진은 “최초의 나비는 1억 140만 년 전 북아메리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내비게이션, GPS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건 GPS입니다. GPS는 인공위성을 통해 나의 위치 좌표를 알아내요. GPS로 알아낸 나의 위치 정보를 내비게이션에 보내면, 내비게이션은 내 위치와 전자 지도를 바탕으로 가장 최적의 길을 찾아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 알맞은 경로를 알려준답니다. 우리 몸에서 혈관은 혈액이 지나다니는 통로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것 같아요. 가로뿐 아니라 대각선 방향이 다양하게 나올 수 있거든요. 그러면 머릿속에서 정보를 나열하는 과정이 굉장히 복잡해지죠. 잘 만든 게임이라고 생각해요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내용만 잘 학습했다면 충분히 맞힐 수 있는 수준의 문제가 나왔지요. 또 수학, 과학, 정보 과목을 모두 융합하는, 창의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나왔는데 잘 풀었어요. 영천과 같이 작은 도시에서 과학고를 꿈꾸는 친구도 절대 기죽을 필요가 없어요. 대신 면접 때 왜 과학고에 오고 싶은지, 자신이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기술과 산업의 발전 덕분에 온도, 움직임, 소리 등 다양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우리의 일상에 깊게 뿌리를 내렸다. 휴대전화 안에 ... 빅데이터로 관리하고, 이를 통해 내 위성뿐만 아니라 다른 위성 운용자에게도 유용한 정보로 판매할 수 있다면 위성 사업자의 관점은 바뀔 수 있다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인상적이라 말하니, “31억 개에 달하는 DNA 염기서열 자체가 빅데이터”라며 “생물정보학은 컴퓨터의 도움 없이는 돌아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직접 유전 물질을 만지는 모습을 상상했다면 아쉽지만, 주로 하는 일도 유전체 분석 프로그래밍으로 거의 모니터만 들여다본다고 했다. 이 연구원이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통해 점등에모기속이라는 사실까지 알아낸 뒤에는 전 세계에 있는 점등에모기속의 형태 정보를 수집했다. 이때 확인하는 것은 ‘검색표’다. 검색표란 두 개의 대응하는 형질을 차례대로 늘어놓은 문서다. 검색표를 통해 생물이 속한 분류군을 찾을 수 있다. 만약 검색표가 없다면 원기재문을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