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어"(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날개만 있는 비행기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비행에 성공한 플라잉V는 길이 3m, 무게 22.5kg의 축소형 모델이에요. 연구진이 원격으로 제어하면서 시속 80km의 속도로 이륙할 수 있는지 확인했지요. 연구진은 “플라잉V는 공기 저항과 무게를 줄여 기존 비행기보다 연료 소비를 20%가량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2040년에서 2050년 사이에 ... ...
-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유선형으로 설계해 공기의 저항을 줄이면 비행 효율을 높일 수 있죠. 비행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장시간 비행 기록을 측정할 때 KAU-SPUAV는 기본적으로 원을 그리며 비행해요. 그러다 바람이 심하게 불면, 바람을 등질 때와 맞설 때의 비행 속도가 서로 달라서 비행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걸리고, 그만큼 비눗물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어요. 미야코 박사는 “앞으로 모션 제어 기술 등을 활용해 비눗방울 수분의 정확도를 더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그때는 비눗방울이 꽃에 내려앉아 식물의 수분을 돕는 모습을 볼 수 있겠죠? # 에필로그 꿀록 탐정과 개코는 마녀의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가장 엄격한 제작 요건과 프랑스 법령을 만족시켜야 한다. 우리나라는 초정밀 용접, 변형제어, 비파괴검사(위상배열 초음파검사, 원격내시경검사) 등의 기술을 개발해 회원국 중 최초로 진공용기 섹터를 완성해 공급했다. 초전도 도체도 한국이 ITER 회원국 중 최초로 공급을 완료했다. 초전도체는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작열하는 태양은 지구와 태양계 전체에 막대한 양의 에너지를 공급한다. 에너지의 근원은 태양 내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이다. 핵융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STAR연구센터 책임연구원으로 핵융합 플라스마의 상태를 측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진단장치를 연구하고 있다. yunam@kfe.re ...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알트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를 제어할 약물의 안정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다. 현재까지의 연구에서는 알트의 정수라고 할 만한 핵심 요소가 무엇인지 불명확하다. 다양한 유전자가 이를 조절하는 데 관여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LED 싸인 시계마지막 MOM은 ‘아크릴 LED 싸인 시계’였습니다. 이 작품은 CNC(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 기계로 아크릴을 가공해 시계의 전체 프레임과 기어들을 구성했습니다. 시침 기어, 분침 기어가 따로 있고 이들을 움직이는 기어들 역시 굉장히 치밀하게 제작됐습니다. 여기에 원격 설정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KSTAR의 플라스마를 다시 가동할 시점이 되자 김 부장은 기자를 주제어실로 이끌었다. 주제어실에는 20명 정도 되는 연구원이 모여 플라스마 운전 실험에 열중하고 있었다. 전방 벽면을 가득 채운 모니터에는 알 수 없는 수치와 그래프들이 실시간으로 표시됐다. “KSTAR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플라스마 입자의 움직임과 물성을 계산해낼 수 있다면 이를 극복할 운전 조건과 제어 방법 등도 찾을 수 있다. 권 부장은 “슈퍼컴퓨터는 우리가 아직 정확히 알지 못하는 플라스마의 물성을 분석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라며 “KSTAR 연구팀과 함께 실제 실험 데이터를 해석, 검토하는 등 ... ...
- [한페이지 뉴스] 새가 ‘박치’가 아닌 이유, 뇌에서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하지만 이번 연구로 뉴런 사이의 신호 전달시간을 달리해 순서에 맞게 운동을 제어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셀(Cell)’ 10월 15일자에 실렸다. doi: 10.1016/j.cell.2020.09.019박영경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