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신뉴스
d라이브러리
"
최신정보
"(으)로 총 55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스마트폰을 선물받은 고3 수험생 찬이. 한 달 동안 스마트폰 삼매경에 빠져 지낸 찬이는 어느 날 날아온 요금청구서에 눈이 휘둥그레졌다. 요금이 무려 150만원이 나온 것. 사용명세를 살펴보니 도미니카공화국과 소말리아에 국제전화를 몇 시간 동안 한 것으로 나와 있다. 이동통신사 고객센터에 전 ... ...
전기정보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1 전기정보공학이 뭐죠?전기정보공학은 통신과 전기의 발달과 함께 시작해 현대 사회 산업 전반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학문이다. 생활 전반에 전기공학이 사용되지 않은 곳은 찾아볼 수 없을 정도다. 과학은 이미 존재하는 것을 규명하는 성격의 학문이지만 공학은 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새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폭탄을 적국까지 실어 나르는 방법은 많다. 비행기로 떨어뜨릴 수도 있고, 병사가 메고 걸어 들어가 스위치를 누를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엔 방어할 여지가 있다. 하지만 장거리 탄도탄은 이야기가 다르다. 미국이 탄도탄을 요격하기 위해 수십년동안 미사일디펜스(MD) 연구를 했지만 아직 성과는 미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독자가 지금 이 글을 읽을 수 있는 까닭은 빛이 있기 때문이다.빛은 초속 30만km의 빠르기로 움직이는 ‘광자’라는 작은 입자로 이뤄져 있다.이 작은 입자의 질량은 ‘0’이어서 전자기력을 무한한 거리까지 전하기도 한다.그런데 물리학자들이 요즘 이상한 광자를 찾기 위해 나섰다. 질량도 있고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내 장유형은 뭘까?’지난해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장유형(enterotype)에 대한 논문이 나간 뒤 언론이 크게 다루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어떤 장유형인지 궁금해했다. 저마다 정해진 혈액형이 있듯이 장에 거주하고 있는 미생물의 분포에 따라 장유형이 있다는 사실을 독일을 비롯한 다국적연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국내 기술로 개발해 실전배치한 순항미사일을 시험 발사하는 모습.]조종사 없는 ‘자살폭격기’북한의 광명성 3호 발사 실패 후 우리 군은 지난 19일 순항 미사일을 이례적으로 공개했다. 군 당국은 “북한 전역을 즉각 타격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와 타격 능력을 갖춘 순항 미사일을 ... ...
[5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기사(記事)란 무엇일까.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사실을 적음, 또는 그런 글’이 기사다.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서 어떠한 사실을 알리는 글’이라는 의미도 나온다. 기사의 ‘역할’에 대해 조금 더 깊이 들어가 보자. 보도나 해설, 논평이 기사의 역할이다. 보도는 일반 사람들에게 새로운 소식을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경북 경산에 위치한 박한우 영남대 교수의 연구실에는 구석구석 컴퓨터가 숨어 있다. 연구원들이 쓰는 옆 방에도 본체 뚜껑을 연 컴퓨터들이 가득하다. 마치 컴퓨터공학과 연구실 같지만, 이 곳은 인문대 신관 언론정보학과다.“마침 오늘 오전, 내년에 발간될 저널에 투고한 논문이 통과됐다는 연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규정 타석을 만족시키는 타자 수가 연간 30~40명에 불과해요.”“생각보다 ‘빅데이터’가 아니네요?”지난 3월 10일 토요일 오전 서울 신사동의 한 옥탑방. 이곳에 모인 12명의 사람들이 의외라는 표정을 지었다. 엑셀로 그린 그래프를 살펴보던 중이었다.“그래도 자료를 여러 사람이 나눠서 검증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렇게 나뭇잎 위에 가라앉은 부유물 위에 자라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누런 잔디 사이에 짙은 녹색 클로버 싹이 올라오기 시작하는 3월 초순 성균관대 구내에 있는 작은 연못. 생명과학과 윤환수 교수가 연못 바닥에 있는 나뭇잎 위에 커다란 스포이드를 대고 물을 빨아 당긴다. 윤 교수가 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