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침"(으)로 총 612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가장 멀리까지 달려라! 고무줄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자동차를 놓았어요. 바퀴를 뒤로 굴려 고무줄을 감아 주는 것도 잊지 않았죠. 모두가 침을 꿀꺽 삼키며 지켜보는 가운데 달려가는 자동차들!아, 그런데 이게 웬일일까요? 섭섭박사님의 자동차가 도전자들의 예선전 결과보다 훨씬 짧은 거리만 달려간 뒤 멈춰버렸어요! 반면 송원준 도전자의 자동차는 ...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는 “이 발견은 아주 오래 전부터 바이러스가 우리 몸속을 침입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바이러스가 우리 몸속에 항체가 만들어지도록 해서 면역체계가 건강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도운 셈이다”라고 설명했어요.긴급 인터뷰바이러스 그것이 알고 싶다!송대섭 ... ...
- 모기를 수컷으로 만드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생각했다면, 착각이에요! 우린 나름대로 사람들을 도우며 살아가고 있답니다. 우리의 침에는 피를 굳지 않게 만드는 성분이 있는데, 사람들은 이걸 추출해 피 덩어리를 없애는 치료제로 사용하기도 하거든요. 사람들에게 해만 끼치는 곤충이 아니라구요.저는 당신을 도와 줄 생각이 없으니, 지구 ...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공격을 받고 사망했다. 최 교수는 “등검은말벌이 다른 말벌에 비해 공격성이나 침의 독성이 더 센 건 아니지만, 개체수 자체가 너무 많기 때문에 사람을 공격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특이한 벌집 구조, 생존력 비결일까등검은말벌의 생존력은 벌집을 짓는 데서도 나타난다. 대부분의 말벌은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한다. 육식동물과 반추동물의 침에는 그마저도 아예 없다. 인간은 침 외에 다양한 소화기관에서도 전분 분해 효소가 많이 분비된다.결국 인간은 잡식동물로 태어난 덕분에 소, 돼지, 양, 닭 같은 고기와 채소의 섬유소뿐만 아니라 쌀, 밀, 옥수수, 감자 등 전분 위주의 곡물까지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코메니우스대 나탈리아 카모디오 박사팀은 키스를 하고 난 뒤 10분에서 최대 60분 이내로 침의 DNA를 조사하면 키스 상대의 DNA 일부를 찾을 수 있다고 ‘국제법과학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성범죄의 범인을 찾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수학상 : 888명의 자녀를 갖기 ...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전분이 많은 음식도 잘 넘길 수 있다. 참치라는, 우리 조상은 듣도 보도 못한 생선을 넣어 침이 꿀꺽 넘어가는 김치찌개를 만든 것도 이런 문화의 연장선에 있다(김치찌개가 처음 나온 기록은 1900년대 초반 동아일보다).점점 싱거워지는 ‘파는 김치’김치는 다른 발효음식 즉 치즈나 요거트, 와인과 ...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 모든 걸 침 2mL로 어떻게 알아낸 것일까. 결과에 오류가 있지는 않을까. 제노플랜은 침 속에 들어있는 DNA를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기기를 이용해 증폭한 뒤 단일염기다형성(SNP)을 읽어냈다. 사람과 사람은 유전자의 99.9%가 동일하고 0.1%만 다르다. 차이는 염기서열 특정 위치에서 나타하나의 형질은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민재 기자가 현미경으로 관찰한 개미는 배자루마디가 1개이고, 털이 있으며 배 끝 부분에 침은 없고 둥근 구멍이 있었어요. 개미분류검색표를 따라가 보니 이 개미의 정체는 바로….“일본왕개미네요!”일본왕개미는 공원과 놀이터, 학교 운동장 그리고 산 등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그 시기가 되면 서울 사람들이 단체로 복국을 먹고 싶어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곤 했다. 마침 복어는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지점에서 잘 잡히기 때문에 한강의 특산품이었다. 복국을 먹은 조선 시대 사람들은 복국을 맛있게 끓이는 집, 복국의 맛 등을 서신으로 주고받았다. 오늘날 SNS를 통해 먹은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