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것을 좋아해요. 그래서 사람들이 저희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면 큰 보람을 느끼지요. 지금도 다른 사람들이 굿노트를 유용하게 사용할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누군가를 돕기 위한 일을 하다 보면 비로소 자기 스스로 만족할 수 있을 거예요 ... ...
- [가상 인터뷰] 물곰 족보에 등장~. 그린란드에서 신종 물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큰 벌레야? 물곰은 눈에 간신히 보일 정도로 아주 작아. 작은 것은 0.1mm도 안 되고 가장 큰 물곰은 1.5mm 정도란다. 머리를 빼고 몸 마디는 4개가 있는데, 각 마디에 다리 한 쌍이 있어. 총 8개의 다리로 아주 천천히 걸어 다니는데, 걷는 모습이 마치 곰과 비슷하고 주로 물속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 ... ...
- 개념 쏙쏙! 놀이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굴려 점수판 위 원하는 숫자에 올려 봐요.공깃돌이 놓인 곳의 숫자를 이용해서 가장 큰 수를 만드는 사람이 승리! 묶어 묶어! 젤리 가게 젤리 가게에 손님들이 찾아왔어요. 손님이 주문한 젤리를 10개씩 묶고, 부족한 젤리는 색칠해서 채워 보세요. 그다음, 묶음과 낱개는 각각 몇 개인지 빈칸에 ... ...
- [과학뉴스]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한 행성 맨틀 아래 남아있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테이아의 일부는 지구의 상부 맨틀과 섞였다. 나머지 일부는 하부 맨틀에서 섞이지 않고 큰 덩어리로 남아 가라앉았다. 지금까지 LLVPs의 생성 원인으로 원시 지구의 구조가 만들어지면서 남은 잔해라거나, 맨틀로 섭입한 해양지각이 쌓인 것이라는 가설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테이아를 LLVPs의 ...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이 만든 얼굴 진짜보다 더 진짜 같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가려낼 수 없으므로, AI 사기꾼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며 “큰 문제가 생기기 전에 AI 기술의 투명성이 높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 ...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보며 휴식을 취한다. 손주가 너무 예쁜 60대 박미연 씨의 하루 60대 박미연 씨에게 큰 고민이 있다. 바로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손주에게 꼭 맞는 선물을 고르는 것이다. 골머리를 앓던 그는 생성 AI를 떠올린다. 대화하듯 말을 건네면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검색해주는 네이버 ‘Cue’ 서비스다 ...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완전히 다른 분야다. 이 때문에 의사과학자들이 별도의 공학 교육 없이 연구에 투입되면 큰 어려움을 겪는다. KAIST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과기의전원에 의학과 공학을 처음부터 같이 배우는 교육 과정을 만들어, 이후 공학 박사과정에서 전일제 연구를 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SSC嘄uperconducting Super Collider)’입니다. SSC는 둘레만 약 87k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입자가속기가 될 계획이었습니다. 물리학의 표준모형이 품고 있는 궁금증을 풀어줄 것이란 기대를 한몸에 받았죠. 10년 동안 약 44억 달러(약 5조 7000억 원)의 비용을 들여 건설하기로 계획됐습니다. 그러나 199 .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화요일 연재된 웹툰은 같은 요일에 공개되는 33개의 작품 중 인기 순위 4위에 오를 정도로 큰 관심과 사랑을 받았다. 2022년 2월 프롤로그를 시작으로, 21개월 만인 2023년 11월 27일 본편 연재가 끝났다. 대학원 탈출일지의 주인공은 작가 본인이 투영된 캐릭터, ‘병아리 요다’다. 병아리 요다의 전공은 ... ...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물리학자를 꿈꿨고 물리학의 길을 걷고 있다. 내 이름에 ‘물리학자’라는 단어가 붙을 때의 기분은 여전히 어색하지만 그것이 내 정체성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단어임은 분 ... 미지의 세계가 있고 우리의 지적 가능성은 무한하다. 그리고, 아마도, 먹고 사는 데 큰 지장은 없을 것이다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