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물"(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나는 어과동의 과학마녀 일리! 컴퓨터로 학교 발표 자료를 만들었어. 그런데 학교에 이 파일을 들고 갈 때 필요한 USB 메모리를 잃어버렸지 뭐야! 뭐라고?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고? 기획 / 통합과학 교과서 中 … 최근 몇 년 간 전 세계의 통 ... ...
- [특집] 미래의 날씨를 오늘로 불러오는 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지난봄에는 곳곳에 가뭄이 들어서 농사를 짓기가 어렵다는 소식이 있었어요. 비가 오면 소풍은 못 가지만, 가뭄을 끝낼 단비는 많이 내리면 좋겠어요. 필요한 순간, 필요한 곳에 비가 오게 하는 마법을 부릴 순 없을까요? 앗, 잠깐! 비와 눈을 내리게 하고, 우주의 날씨도 알 수 있는 ‘과학’이 있다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편집자주. 우연히 블랙홀과 함께 밥을 먹을 순 없겠죠? 이해를 돕기 위해 블랙홀이 항성을 흡수하는 과정을 식사에 빗대 설명했습니다.블랙홀과 식사를 함께했다. 더 알아가고픈 사람이 있을 때 우리는 함께 밥을 먹는다. 식탁 위에선 상대가 어떤 사람이고 뭘 좋아하는지 속속들이 알 수 있다. 그 ... ...
- [헷갈린 과학] 모네의 정원에 핀 꽃은? 수련 VS 연꽃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물 위에 떠 있는 꽃’ 하면 떠오르는 식물은? 바로 수련과 연꽃이에요. 서로 같은 식물 아니냐고요? 수련과 연꽃은 사는 곳뿐 아니라 A 비슷하게 생겼지만, 잎과 꽃을 자세히 관찰하면 차이점을 알아볼 수 있답니다. 수련수련은 연못이나 얕은 물에 사는 수생식물이에요. 물 아래 땅바닥에 뿌리 ... ...
- [과학뉴스]샌드위치 속 달걀흰자 바닷물 속 미세 플라스틱 거른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미국 연구진이 달걀 흰자를 이용해 물 속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여과장치를 만들었다. 이 들은 식탁 위에 놓인 샌드위치 빵을 보고 영감을 얻었다.미국 프린스턴대는 이탈리아 트렌토대, 영국 퀸 메리대 등과 함께 그래핀에 달걀 흰자를 덧입 힌 장치로 바닷물 속 염분과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 ... ...
- [이달의 꼼지락] 손에 손잡고 지는 해에 치얼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기자는 5살 크리스마스 아침을 여전히 기억합니다. 마침 전날 밤에 눈이 내렸죠. 처음 맞는 화이트 크리스마스에 신이 나서 맨발로 마당을 뛰어다닌 기억이 생생합니다. 산타할아버지가 두고 가셨다며 부모님이 안겨주신 장난감의 차갑고 매끄러운 감촉도요. 떠올릴 때마다 마음이 포근해지는 소중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세포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엑소좀. ‘3세대 신약’으로 불리는 세포 엑소좀. ‘3세대 신약’으로 불리는 세포 치료제와 유전자 치료제를 넘어 제약계의 치료제와 유전자 치료제를 넘어 제약계의 차세대 패러다임으로 불리는 치료 방식이다. 차세대 패러다임으로 불리는 치료 방식이다. 단어부터 어려워 보이는 엑소좀 치료 ... ...
- 당신은 슬기로운 사람인가요 ?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내년은 올해보다 더 덥고, 더 많은 비가 올 것이다. 2022년 여름 한국에 쏟아진 폭우와 유럽 대륙 을 40℃까지 달군 폭염이 일상이 된다는 말이다.2021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가 발간한 제6차 평가보고서 제1실무그룹 보고서는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기상 데이터를 ... ...
- [특집] 어디까지 알아 봤니? 전 세계 지하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지하에 있는 실험실이라고 해서 다 같지 않다. 땅 속 깊은 곳에서 희미한 신호를 관찰한다는 공통점만 있을 뿐, 크기도 역사도 연구 주제도 제각각이다. 때론 경쟁하고 때론 협력하며 더 큰 목표에 도전하는 전 세계 주요 지하실험실들을 만나보자. 더 깊고 더 넓게… 스케일로 압도하는 CJPL중국 ... ...
- [과학 뉴스] 30분 만에 바닷물이 생수 한 컵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4월 14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전기공학및컴 퓨터과학과 윤정호 연구원팀이 언제든지 바닷물을 생수로 만들 수 있는 ‘담수화 장치’를 개발했어요. 기존의 담수화 장치는 필터로 물을 거르기 위해 바닷물에 강한 압력을 줄 큰 펌프가 필요했어요. 그래서 20kg보다 가벼운 담수화 장치를 만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