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초
토대
기틀
근거
근본
저변
d라이브러리
"
터전
"(으)로 총 260건 검색되었습니다.
숲에서 배우는 느림과 비움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cultura)라는 말이 생겨났듯이, 숲은 인간의 삶과 문화를 가능하게 하는 근본 바탕이자
터전
임을 강조하는 생활문화 운동이다.“우리나라는 전세계적으로 자연환경이 극도로 악화되던 시기에 10배 이상 숲을 키워온 경험이 있습니다. 독일·영국·뉴질랜드와 함께 세계 4대 조림국에 속하죠. 전쟁으로 ... ...
동물은 웰빙, 관람객은 흥미 진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규모의 토종생태동물원에는 한국호랑이를 비롯한 13종 84마리의 토종동물을 위한 삶의
터전
이 마련된다. 내년 9월 완공될 예정인 토종생태동물원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관람객 반기는 수달토종생태동물원은 단순히 토종동물을 모아놓는 곳이 아니다. 이들과 수천년을 함께 살아온 우리 선조들의 ... ...
살아 숨쉬는 갯벌에서 느끼는 감동과 전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일이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갯벌은 어민들이 ‘바다 농사’를 짓고 사는 생활의
터전
이다. 무심코 외지인들이 헤집고 다니는 발걸음으로 인해 어민들은 소중한 농사를 망치게 될 수도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또한 최근에는 갯벌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행과 탐사를 하는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피부색은 옅었다. 4백50만년-2백만년 전 이들은 열대우림을 떠나 사바나 초원으로 삶의
터전
을 옮겼다. 태양에 그대로 노출된 사바나에서 이들은 먹거리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움직여야했다. 이 과정에서 땀을 잘 흘려 과열된 몸을 효율적으로 식힐 수 있는 개체가 생존에 유리했다.이와 함께 땀의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균이 유행해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사망한다면 침입한 미생물들도 자신이 살 수 있는
터전
이 그만큼 사라져 결국은 그들도 같이 없어지고 말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미생물은 인간을 물리치고 새로운 대상을 찾아나서면 되는 것이 아닐까.우리 세포는 미생물의 모임?1960년대 후반, 유명한 ... ...
1 무기여 안녕! 유기전자공학 시대 도래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유기물의 전기적 성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 전자공학은 무기물에서 유기물로
터전
을 옮겨가고 있다. 그 결과 미래에는 ‘유기전자공학’의 시대가 펼쳐질 것으로 얘기되고 있다. 그렇다면 유기전자공학은 어떤 새로운 가능성을 가져다주는 것일까.유기물은 반도체의 특성을 갖게 되면서 ... ...
주인 바뀐 렘브란트 작품 속 얼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데카르트는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분리시켜 정신은 종교의
터전
인 영혼의 처소로서 그대로 두고 육체는 실증적 과학의 탐구대상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러므로 죽은 사람을 해부하는 것이 아무런 문제가 될 게 없는 것이었습니다. 오히려 해부를 통해 신의 의도를 ... ...
암울한 미래 디스토피아의 자화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위해 미국 정부로부터 디트로이트시를 매입한다. 강제 철거가 진행되고 졸지에 생활
터전
을 잃어버린 사람들은 시민군을 조직해 옴니사에 맞선다. 이렇듯 미래의 자본은 기본적인 인권과 법을 초월한 절대 권력으로 묘사되기도 한다.영화에서 거대자본은 거주 공간이나 식량 등 인간의 생필품을 ... ...
2 살상력 못지 않은 환경재앙 유발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생태계의 보고이자 5천년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역사를 이어온 마단(ma'dan) 원주민의 삶의
터전
이다.그러나 한때 2만㎢ 가까이에 이르던 습지대는 이미 1차 걸프전의 불길 속에서 대부분이 파괴됐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온전하게 남아있는 습지는 고작 50㎢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런 환경파괴는 ... ...
우포늪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생명체를 소개한 책이다. 우포늪에 살고 있는 동식물의 생태 뿐만 아니라 우포늪을 삶의
터전
으로 삼고 있는 사람들의 생활까지 담았다는 점이 여느 책과는 사뭇 다른 느낌을 준다.한반도에 사람이 살지 않던 아득한 옛날부터 있었던 원시림인 우포늪을 찾아가는 길을 소개하는 것으로 이 책은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