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폭탄"(으)로 총 7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응용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한 시점은 그로부터 수십 년이 지난 1960년대부터다. 수소폭탄 개발에 성공한 선진국들이 이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핵융합 연구에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물질을 플라스마 상태로 만들어 원자핵과 전자를 떼어 놓아야 한다.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지뢰를 찾아낼 수 있었죠.이 쥐들은 태어난 뒤 1달이 됐을 쯤부터 지뢰 속에 들어 있는 폭탄 물질인 ‘트라이나이트로돌루엔(TNT)’의 냄새를 기억하고 찾을 수 있도록 훈련 받아요. 처음엔 쥐들이 TNT 냄새를 맡기만 해도 ‘딸깍’ 하는 소리를 내고 바나나를 보상으로 줘요. 그러다 점점 이 냄새가 ...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상황은 연구소 설립 배경을 보면 자연스레 이해가 된다. ORNL은 제2차 세계대전 때 원자폭탄 개발을 위한 맨해튼 계획의 일환으로, 플루토늄 생산과 분리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1943년에 설립됐다. 현재는 미국 에너지부 소속으로 재료, 중성자, 고성능 컴퓨팅, 핵 등 네 가지 국가보안 관련 과학기술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1996년 9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이 국제연합(UN) 총회에서 결의됐다. 이 조약은 현재까지 183개국이 서명했다. 이전까지 2000여 건이 넘게 진 ...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핵무기로 2차 세계 대전을 끝낸 미국은 전쟁 후에는, 아이러니하게도 핵무기를 걱정하는 신세가 됐다. 이념으로 서방과 갈라선 구 소련과 중 ... 기도하는 수밖에 없을 겁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아주 중요한 반응이니 당연히 배웁니다. 하지만 이를 이용한 발전에 대해 배우지, 핵폭탄을 따로 배우진 않습니다. 원자핵공학과에서 집중해서 가르치는 분야는 크게 원자력발전, 핵융합과 플라즈마, 방사선 세 가지입니다.전소리: 교수님께서는 핵융합에너지를 연구하신다고 들었습니다.황용석: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다. 강력이 관여하는 핵분열은 핵폭탄을 만드는 데도 쓰인다.1945년 일본 히로시마에 핵폭탄이 떨어지기 전(왼쪽)과 후(오른쪽)를 비교한 사진.도시가 폐허가 됐다.표준모형, 그리고 그 너머다시 김 대리의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 우리가 무언가를 만질 수 있는 이유는 우리 몸과 사물을 이루는 ...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거두기도 쉽지 않다. 비유하자면 약물치료는 화재가 난 집뿐만 아니라 온 동네에 물폭탄을 투하하는 꼴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우울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복용한 항우울제가 뇌의 여러 부분에 영향을 미쳐 수면 장애, 두통, 성기능 장애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적지 않다.우리 뇌는 1000억 개가 ... ...
- 드론 미래를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말았어요. 또한 갑자기 바람의 방향이 바뀌자 오히려 오스트리아군의 진영으로 되돌아와 폭탄이 터지기도 했지요.비록 최초의 드론은 작전에 실패했지만 사람들은 이때부터 드론에 주목하기 시작했어요. 사람이 타지 않고 하늘을 날아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물체이기 때문이에요. 드론, ... ...
- [교과연계수업] 팔방미인! 드론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말았어요. 또한 갑자기 바람의 방향이 바뀌자 오히려 오스트리아군의 진영으로 되돌아와 폭탄이 터지기도 했지요. 비록 최초의 드론은 작전에 실패했지만 사람들은 이때부터 드론에 주목하기 시작했어요. 사람이 타지 않고 하늘을 날아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물체이기 때문이에요. 드론,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