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수
강물
구정물
배수
방수
하천
냇물
d라이브러리
"
하수
"(으)로 총 298건 검색되었습니다.
열대지역이 넓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식별이 가능한 8천9백여 개의 별들과 그에 의한 별자리 그리고 잘 알려진 성운·성단·은
하수
등을 투영시킨다 또 밝은 1등성·2등성 45개에는 특별히 1개씩 투영기가 붙어 있고 변광성(變光星)도 나타낼 수 있다 두번 째 태양계 투영부에서는 태양과 달 그리고 여러 행성들의 궤도운행을 묘사하고 ... ...
중국 싼샤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세균의 하나 자연계에 매우 널리 분포하는 비병원성의 세균으로 특히 공기중 마른 풀
하수
토양속에 많이 존재한다전체 게놈에서 단백질에 대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암호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DNA 즉 게놈에서 유전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다 유전자 안에서 의미 없는 부분인 인트론과 ... ...
첨단 디지털 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기술부대에서 복무했다 림프샘 · 비장 · 골수 등의 세망조직계통 간, 골수, 부신, 뇌
하수
체의 세(細)혈관내피세포계통 및 간질조직 중의 조직구(組織球)는 일정한 이물을 섭취하며, 생체염색이 양성이고 공통의 기능상태를 나타내는 간엽(間葉)세포계통이다 오스테나이트와는 레데부라이트 등 함께 ... ...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HydroKorea) 연구팀을 만들었다. 한반도의 숲에서 강수량, 증발산, 유출, 지
하수
등을 실제로 측정해 물 순환을 이해하려는 것이다.특히 증발산은 눈에 보이지 않아 측정이 어렵다. 연구팀은 숲에 높은 탑을 세워 그 위에 초음파풍속계와 수증기농도분석기를 설치해 풍속과 습도의 변화를 관측하고 있다. ... ...
생태계에 꼭! 필요한 작은 생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개구리밥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답니다.장구벌레더러운 물이 고여 있는 웅덩이나
하수
구의 물 속을 자세히 살펴보면 발견할 수 있어요. 장구벌레는 모기의 애벌레예요. 크기는 1cm가 안 되며 몸 색깔은 옅은 갈색기가 도는 회색이에요. 온 몸에 송충이처럼 거친 털이 있고 꼬리 쪽에 긴 호흡관을 ... ...
청계천(淸溪川)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주택가
하수
가 흐른다. 만일 장마철 폭우로
하수
로에 빗물이 가득 차면 한강물이나 지
하수
등 인공적으로 끌어들인 물은 차단되고 복개구조물과 청계천을 가로막고 있는 석벽의 수문이 열리면서 청계천으로 흘러든다.청계천에 인공적으로 물을 흘려보내는데는 하루 238만원, 연간 8억7000만원이 ... ...
과학발전의 밑거름 - 노벨상 사이버 박물관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전자레인지가 에너지 소모량이 적다. 또한 설거지를 늦게 하면 사용하는 물이 많아져
하수
처리와 상수공급을 위해 더 많은 에너지가 사용된다. 갤러리 코너에서는 1998년부터 매년 진행된 콘테스트 수상작을 통해 초등학생의 꾸밈없는 에너지 상상력을 만날 수 있다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식별이 가능한 8천9백여 개의 별들과 그에 의한 별자리 그리고 잘 알려진 성운·성단·은
하수
등을 투영시킨다 또 밝은 1등성·2등성 45개에는 특별히 1개씩 투영기가 붙어 있고 변광성(變光星)도 나타낼 수 있다 두번 째 태양계 투영부에서는 태양과 달 그리고 여러 행성들의 궤도운행을 묘사하고 ... ...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더 공감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영화 ‘가발’의 소재는 머리카락.
하수
구에 뭉쳐있는 머리카락을 보면 기분이 썩 좋지 않다. 한때 내 몸의 일부였다가 떨어져 나온 머리카락은 일면 나이면서도 더이상 내가 아닌 일종의 ‘분신’. 영화에서 머리카락이 기억을 간직하고 있다는 설정도 ... ...
냄새는 뇌가 맡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다정하게 껴안으며 이렇게 속삭인다. 우리 뇌는 연인의 체취나 꽃향기처럼 좋은 냄새,
하수
구나 화장실에서 나는 악취 등 수많은 냄새를 구분하고 기억할 수 있다. 냄새를 맡을 때 뇌에서는 과연 어떤 일들이 일어날까.노벨상 받은 냄새 연구냄새를 처음으로 알아내는 곳은 코의 안쪽 윗부분에 있는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