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뉴스
"
게재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성능 높이는 핵심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국내 연구팀이 전고체 배터리의 전해질 성능을 높이는 핵심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전고체 배터리의 전해질 성능을 높 ...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3월 25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메터리얼즈'에
게재
됐다. -DOI.10.1002/aenm.20250053 ... ...
뇌처럼 생각하고 반응하는 반도체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왼쪽부터) 연구에 참여한 김은영 KAIST 반도체공학대학원 박사과정생, 김경민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김도훈·정운형·김근영 KAIST 신소재공학과 연구 ... 저자로 참여한 연구의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에 8일
게재
됐다. -DOI: 10.1002/adma.20241912 ... ...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용액 속 단백질량 측정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논문 순위를 공개했다. 전체 인용 수 1위는 1951년 '저널 오브 바이올로지컬 케미스트리'에
게재
된 용액속 단백질 양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논문이 차지했다. WoS 기준 35만번 이상 인용됐다. 상위권에는 생물학적 실험 기술에 대한 논문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처는 약 10년 전인 2014년 ... ...
음극재 바꿔 전기차 배터리 충전속도·용량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연구팀과 차세대 배터리 음극 소재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게재
했다고 16일 밝혔다. 전기차 등에 들어가는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으로 흑연이 주로 사용된다. 흑연은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낮은 이론 용량(이상적인 용량)과 느린 충·방전 속도가 한계다. 이를 극복하기 ... ...
3D 유사장기로 두경부암 원인 돌연변이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개발에 단초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실험 저널’ 최신호에
게재
됐다. - doi.org/10.1084/jem.20240758 3차원(3D) 두경부 전암 오가노이드(인공장기) 모델을 개발한 연구진. 강남세브란스병원 박영민 교수,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데첸 린 교수, 남제현 박사. ... ...
[과기원NOW] KAIST 10조 규모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센서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스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에
게재
했다고 14일 밝혔다. 기존 진단법은 항체를 활용한다. 바이러스 변이가 발생하면 항체가 바이러스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우리 몸의 특정 수용체인 ACE2 수용체와 바이러스의 결합 ... ...
암세포 돕는 나쁜 세포 공격하는 면역항암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암면역치료학술지’ 4월호에
게재
됐다. doi.org/10.1136/jitc-2024-011422 배현수 경희대 한의학대학 교수(왼쪽)와 강성호 응용화학과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 ...
치매로 기억 흐려지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치매로 기억 흐려지는 이유가 뇌 속 별모양 세포에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libre de droit/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치매로 기억이 흐려지는 이유가 ... ‘몰레큘러 뉴로디제너레이션(Molecular Neurodegeneration, IF 14.9)’에 지난 1월 온라인
게재
됐다. -https://doi.org/10.1186/s13024-024-00788-8 ... ...
스펀지 같은 탄소나노튜브로 만든 열전 소재…성능 5.7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탄소나노튜브(CNT)의 열전 성능 지수를 기존 대비 5.7배 향상하는 소재를 개발한 주요 연구진 사진. 오른쪽부터 한국화학연구원 배은진 선임연구원, 강영훈 책임연 ...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탄소 에너지’ 1월호 후면 표지 논문으로
게재
됐다. - doi.org/10.1002/cey2.65 ... ...
[표지로 읽는 과학] 1㎣ 생쥐 뇌에 담긴 우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2
구조와 기능을 동시에 담은 통합 뇌 지도를 완성한 연구결과를 네이처에 9일(현지시간)
게재
했다. 시각피질은 쥐가 ‘볼 때’ 활동하는 뇌의 한 부위다. 포유류의 뇌 속 구조와 기능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밝힌 세계 최대 규모의 데이터셋이다. 연구팀은 생쥐 시각피질 1mm³ 영역을 2만8000장의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