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순
유일
단독
통일
일관성
균일성
협조
뉴스
"
단일
"(으)로 총 1,202건 검색되었습니다.
글로벌R&D 협력체계 강화…전략거점센터로 칸막이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권역 내 유관센터 간 협력체계도 구축한다. 국내-현지 간 연결 창구를 전략거점센터로
단일
화하며 각 센터에서 보유한 정보를 통합하고 이를 수요자에게 개방할 계획이다. 또한 센터별로 주최하던 행사, 교류를 주요 행사에 통합해 규모를 키우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전략거점센터에 ... ...
의료계 "국민 피로감 죄송"…의협 회장, 촛불집회 참석 촉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5.29
때문에 하루아침에 의사 인력을 양성할 수는 없다고도 설명했다. 정부가 의료계의
단일
한 목소리를 요구하고 있는데 의료계의 목소리는 ‘하나’라는 입장도 전달했다. 의학회 등은 “필수의료, 지방의료 살리기 등 정부가 발표한 의료개혁 패키지에 나온 내용들은 실제 추진하기에 많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지도를 5.4~7.2명 범위로 중간이다. 신장암 발생 기여도, 상대적인 영향력이 특히 높은
단일
염기치환(SBS) 시그너처는 7개로 이 가운데 5개는 11개국에서 기여도가 비슷했다. 그런데 이 가운데 원인을 알고 있는 시그너처는 3개이고 나머지 4개는 원인을 모른다. 평균 기여도가 각각 30%와 20%로 1위와 ... ...
고도비만 여성에
단일
공 로봇 자궁절제 세계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5.28
아이들이 기다리는 아랍에미리트로 돌아갈 수 있었다. 이사라 교수는 “이번 수술은
단일
공 로봇 자궁절제술을 초고도비만 환자에게 시행한 사례 중 비만 지수가 가장 높았다. 수술을 결정하기 어려운 조건이었지만 환자의 고통 경감을 위해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많은 시뮬레이션을 거쳐 ... ...
'도청 차단' 양자 통신 위한 신개념
단일
광자 발생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단일
광자의 편광을 변화시키는 원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단일
광자 발생기는 기존 장치보다 2000분의 1 수준으로 크기가 작았고 여러 개의 발생기를 동시에 작동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
단일
광자의 편광 정보를 조절하면 보안이 필수적인 군용 통신이나 첨단 산업에서 ... ...
임상 환자 사망으로 새판 짜는 유전자가위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염기를 다른 염기로 변경하는 방식으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NA를 절단하지 않고
단일
염기에만 손을 대는 '염기교정(Base Editing)'과 특정 염기를 정교하게 교정할 수 있는 '프라임교정(Prime Editing)' 기술이 활용된다. 한국은 새로운 유전자 가위 교정법을 활용해 부작용을 억제하는 연구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폐, 양극성 장애 비밀 품은 세포·유전자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연구팀이 신경학적 질환이 없는 사람과 신경퇴행성 장애 등이 있는 환자의 뇌 전두피질
단일
세포 염기서열을 모아 분석한 연구다. 388명의 뇌를 기반으로 상세한 유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뇌 질환과 유전적 요소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예브게이냐 누시노비치 사이언스 수석 편집자는 ... ...
미래 제약산업, 우주에 답 있다…보령·스페이스린텍도 '정조준'
과학동아
l
2024.05.25
한 해 동안 ISS에서 수행한 단백질 결정 성장 실험은 500건 이상이며 이는 ISS에서 수행된
단일
실험 범주 중 가장 큰 규모다. 2024년 2월 21일(현지 시간) 미국 유타주 사막. 우주에서부터 엄청난 속도로 날아온 지름 90cm의 캡슐이 낙하산을 타고 지상에 무사히 착륙했다. 미국 스타트업 ‘바르다 ... ...
뇌 신경망 본딴 소자로 만든 차세대 '전자 코'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후각은 다양하고 복잡한 냄새 물질을 패턴화해 구별할 수 있지만 인공 후각 기술은 주로
단일
물질이나 구별이 쉬운 물질이 섞인 혼합물만 분별해 낼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 후각 시스템은 냄새 물질을 감지해 고유 패턴을 형성하고 신경망 학습을 통해 미지의 냄새 물질을 추론한다. ... ...
온실가스 주범 메탄·아산화질소, 동시 제거 습지미생물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환경생태계에서의
단일
미생물에 의한 메탄산화 및 아산화질소환원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주요 주요 온실가스인 메탄(CH4) 과 아산화질소(N2O)를 동시에 분해하는 습지 미생물을 발견했다. 유전체 분석을 통해 이 미생물이 저산소 환경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