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단
상사
위
윗쪽
꼭대기
표면
윗부분
뉴스
"
상부
"(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어이없는 106중 연쇄추돌 어떻게 일어났나
2015.02.15
많은 시민들이 우려와 안타까운 마음을 전하고 있다. 11일 오전 영종대교 서울방면
상부
도로에서 벌어진 이 사고는 사망자 2명, 부상자 65명을 낳으면서 국내 최대규모의 추돌사고로 기록됐다. 시민들이 의구심을 갖는 점은 ‘대체 어떻게 106중이나 되는 추돌사고가 일어날 수 있느냐’는 점이다. ... ...
지구 내핵에 또 다른 내핵 있다
2015.02.10
‘이방성(anisotropy)’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내핵의 바깥에 해당하는
상부
내핵의 결정은 남북 방향을 향하고 하부 내핵은 결정이 동서 방향을 향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송 교수는 “이방성은 물질의 구조와 성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내핵의 구조와 조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 ...
전원 꺼져도 정보 보존되는 ‘강유전체’ 수수께끼 풀려
2014.12.03
양자역학적 에너지 장벽의 차이 때문에 거대전극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상부
전극에 어떤 물질을 쓰느냐에 따라 전자가 강유전체를 통과하는 양자역학적 흐름이 크게 달라진다는 것이다. 정 연구원은 “거대전극효과의 원리를 밝힌 만큼 강유전체로 터널접합소자를 만들 때 중요한 ... ...
겹겹이 쌓아 유기태양전지 효율 높인다
2014.10.27
열처리 이후에도 최고 효율 6.81%를 낼 수 있는 하부 셀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고효율의
상부
셀을 확보하면 12%이상의 발전 효율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황 교수는 “상하부 셀 각각이 다른 파장대의 태양광을 흡수해야 시너지 효과를 내 고효율을 얻을 수 있다”며 “향후 기존에 사용되고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결국 벼농사는 개인(부부)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고. 그 결과 벼농사권에서는
상부
상조하는 관습이 이어져왔고 ‘나보다는 우리’를 앞에 둘 수밖에 없었다. 반면 밀농사는 자연 강우에만 의존하면 되고 일이 고되기는 해도 나 혼자 힘으로 내가 먹을 걸 얻는 데 큰 어려움이 없기 ... ...
D램, F램은 알겠는데, Re램?
과학동아
l
2014.05.25
도포해 메모리 소자를 구현한 것. 이를 X선과 라만 분광법으로 측정한 결과, 그래핀
상부
전극에 (-)를 인가하면 산화티타늄 내에 있는 산소음이온은 아래로 분산되고 양전하를 가진 산소공공은 위로 올라와 산화티타늄 표면에 축적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이때 그래핀에서 산화티타늄 ... ...
GTX 선로 위에 바람길 만들어 이명현상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9
역의 경우에는 먼저 각 선로를 벽으로 구분해, 급행열차가 통과할 때 발생되는 풍압을
상부
바람길을 통해 방출하는 동시에 완행 선로에 남는 바람의 압력을 분산시켜 승강장으로 갈 수 있는 공기압 영향을 줄이도록 한 것이다. 축소모형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APS의 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 BAS 제공 1970년대 대기화학자 셔우드 롤런드와 마리오 몰리나는 프레온이 성층권
상부
의 오존층을 파괴해 지표가 자외선에 노출될 위험성을 경고하는 논문을 발표했지만 격한 반발에 부딪쳐 고전하고 있었다. 그런데 1985년 남극 오존층에 구멍이 뚫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전세는 일시에 ... ...
석회 속 유골로 역사를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상부
진피층 형성에 관여하고, 또다른 섬유아세포는 하부 진피층 형성에 관여한다.
상부
진피층의 세포들은 모낭을 형성하고, 하부 진피층의 세포들은 ‘평활근’(붉은색)이라는 부드러운 근육을 만들어 섬유아세포와 모낭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성인의 경우 피부에 ... ...
철길 위 지어진 집에서 허니문 즐길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최 박사는 “이 기술을 적용한 건물을 오류동역
상부
에 지은 상황을 설정한 뒤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열차가 지나갈 때 소음 정도가 일반 수준인 40dB로 측정됐다”고 말했다. 지속적인 열차 운행으로 건물 하부 지지력이 약해지는 문제는 어떻게 막을까. ... ...
이전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