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너지
에네르기
밀도
뉴스
"
에너지밀도
"(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레디!퓨전] 상용화 정조준 소형 핵융합로, 반백년 기초연구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SPARC의 모체인 알케이터 C-Mode의 내부. PSFC 제공 소형 핵융합 장치 '스파크(SPARC)'를 내세워 핵융합 에너지 산업에 뛰어든 미국 스타트업 커먼웰스 퓨전 시스템(Commonwealth Fusion System·CFS)의 뒤에는 매사추세츠공대(MIT) 플라즈마 과학·융합 센터(PSFC)가 있다. 8월 말 방문한 PSFC는 MIT 신입생 맞이에 한창 ... ...
태양의 심술 '코로나' 실체 규명에 한걸음 더 가까이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태양 코로나는 개기일식일 때 쉽게 관측된다. 둘레에서 빛나는 부분이 코로나.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태양은 지구와 1억5000만km나 떨어진 곳에 있지만 직접적인 열과 빛을 포함해 지구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열과 빛 외에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에 있는 가스층인 ... ...
9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순률·박정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왼쪽) 이순률 삼성SDI(주) 수석연구원 (오른쪽)박정수 에프디씨(주) 소장. 과기정통부 제공 9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로 이순률 삼성SDI 수석연구원과 박정수 에프디씨 소장이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산기협)는 2023년 9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 ...
탄소 배출 없는 ‘그린 수소’, 생산 비용 크게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10
(왼쪽부터) 김명근 KIST 박사후연구원, 이태경 박사과정생, 이응준 박사후연구원, 유성종 책임연구원. K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그린 수소’의 생산 단가를 대폭 줄이는 데 성공했다. 그린 수소는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생산한 수소다. 전체 수소 생산량의 80%는 ‘그레이 수소’ ... ...
AI로 수소연료전지 촉매 개발…성공률·속도 획기적으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6
인공지능 모델 개발을 위해 사용된 KIST 계산과학연구센터 서버 및 고성능 GPU 기반 슈퍼컴퓨팅 자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사용해 수소연료전지 촉매 후보 소재의 성능을 하루만에 탐색했다. 이를 통해 기존 백금(Pt) 촉매보다 값싸고 효율적인 신촉매를 개발하 ... ...
초신성 폭발 비밀 풀 천체 적외선 관측 이미지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01
SN1987A.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의 근적외선카메라로 관측한 초신성 'SN1987A'의 이미지를 31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별의 진화 마지막 단계에 이른 항성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의 근적외선 카메라(NIRCam) ... ...
R&D 예산 칼질 속 '국가전략기술' 증액…3개 분야 '임무중심 로드맵' 수립
동아사이언스
l
2023.08.29
등 4개 중점기술별 세부 목표가 제시됐다. 구체적으로는 이론적 한계 수준의 350Wh/kg급
에너지밀도
구현이라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하이니켈 양극재(니켈 90% 이상), 실리콘계 음극재(실리콘 20% 이상) 등 핵심소재 확보를 핵심 임무로 설정했다. 이어 반·전고체 전지 상용화(400Wh/kg)를 ... ...
우주여행 후 적혈구·뼈 고갈...골수 지방이 회복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8
미국항공우주국 우주비행사 팀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식사를 하는 모습.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장기간 체류한 우주비행사들의 인체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확인하고 대응방법을 찾는 것은 미래 유인 우주 탐사 시대에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이뤄진 연구에선 ... ...
독일 막스플랑크 ‘핵융합 발전 연구소’ 현장을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3
독일 뮌헨의 ‘막스플랑크 플라즈마 물리 연구소(IPP)’에 있는 ASDEX-U. ASDEX-U은 토카막 방식의 핵융합 발전 설비로 플라즈마를 10초 정도 유지할 수 있다. 주황색 파이프 라인은 외부에서 전자기파를 쏴 플라즈마 상태의 수소 이온 등을 진동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안테나 역할을 한다. 뮌헨(독일)=한 ... ...
천연가스 개발 현장이 탈탄소 허브로 탈바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다윈 LNG 터미널 내에 위치한 바유운단 가스전과 연결된 파이프라인. 바유운단 가스전이 고갈되면 이 파이프라인을 통해 포집한 CO2를 바유운단으로 주입한다. SK E&S 제공. 호주 대륙의 북단 적도와 가까운 북준주 다윈시내에서 자동차로 40분 가량 떨어진 해안에 자리잡은 다윈항 인근에는 약 60만평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