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빨
이
tooth
뉴스
"
치아
"(으)로 총 341건 검색되었습니다.
필리핀에서 6만7000년 전 신종 인류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전역으로 퍼졌다. 이번에 발굴돼 연구된 위턱 쪽
치아
들이다. 특성 분석 결과
치아
는 현생인류와 비슷한 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 하지만 터키 북부 조지아 드마니시 지역의 180만 년 전 지층에서 작은 인류 화석이,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의 5만 년 전 지층에서 ‘플로레스인(호모 ... ...
하얀
치아
만들려다 이 삭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미백과정 중 발생하는 과산화수소가 법랑질을 침투해 상아질을 손상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치아
를 하얗고 아름답게 ... 수 있는지 연구할 계획이다. 만약 시간이 걸리더라도 재생이 된다면 미백 치료로 인한
치아
손상이 영구적이지는 않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 ...
[의학게시판] 이승엽 야구장학재단, 사랑의 소아혈액암 후원금 전달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3.27
오전 10시 30분부터 11시 30분까지 별관 4층 미카엘홀에서 열린다. 이번 건강강좌는
치아
교정 시기와 다양한 교정 치료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안장훈 치과 교수의 강의를 시작으로 질의응답, 올바른 양치법 순으로 진행된다. 별도의 신청 없이 누구나 무료로 참석 가능하다. ◆ 을지대 ... ...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상어는 이빨이 적거나 없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내용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치아
가 약해지는 인간과 달리, 상어는 새로운 이빨을 계속해서 만들어 한 마리가 생애 동안 수천 개의 이빨을 씁니다. 시프먼 연구원은 자신의 글에서 “상어는 포식자이기 때문에 이빨이 없다면 아무것도 ... ...
음식 변화로 바뀐 안면구조가 F발음 낳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7
낼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생체역학 모델을 만들었다. 그 결과 F나 V처럼 위
치아
를 아랫입술에 닿았다가 떼면서 내는 발음(순치음)을 낼 수 있는 구강구조는 단단한 음식보다는 부드러운 음식을 먹기에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생체역학 모델로 안면구조에 따른 발음을 ... ...
[전문의가 본 당뇨병] 당뇨병-치주질환 서로 부추겨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비해 혈당이 1.6mg/dL, 5회 이상인 사람에 비해 4.1mg/dL 높았다. 특히 치주질환을 겪는 사람은
치아
가 건강한 사람에 비해 8.6mg/dL 높았다. 치주질환을 방치하면 고혈당이 지속돼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 원인을 전문가들은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세균과 세균이 생성하는 부산물이 포도당의 ... ...
치아
에 고주파 쏴… 방사선 피폭량 간단히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기기에 갖다 대기만 하면 정확한 피폭량을 잴 수 있다. 연구팀은 치과에서 얻은 실제
치아
에 방사선을 조사해 성능을 반복 확인했다. 병원과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검증까지 했다. 현재 이 기술로는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X선 촬영 등 일상적인 방사선 피폭은 확인할 수 없다. 방사성 물질 누출 등 ... ...
장까지 살아서 가는 유산균의 방패는 '착한 바이오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막인 바이오필름을 만들고, 그 안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생존 및 증식율을 높인다.
치아
에 끼는 치석이 바로 바이오필름이 굳어져 생긴 것이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어떻게 하면 바이오필름을 벗기고 세균을 몽땅 잡을 수 있을까에 대해 연구해왔다. 그런데 최근 바이오필름을 쓸모있게 ... ...
충치균이 대장암을 공격적으로 부추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공격적으로 성장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Human Genome Sequencing Center 제공 날마다
치아
를 깨끗하게 닦아야 하는 이유가 하나 더 생겼다. 미국 연구자들이 충치균이 대장암세포가 잘 자라게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미국 컬럼비아대 치대 미생물학과와 미생물면역학과 연구팀은 대장암 환자 중 ... ...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 두개골 파편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또는 데니소바인 직계자손 화석은 모두 콩알 만한 손가락뼛조각(위 사진)이나
치아
, 어른 손가락 한 마디 반 크기의 팔 또는 다리뼈 등으로, 데니소바인의 신체 특징은 전혀 짐작할 수 없었다. 그래서 데니소바인은 화석 속에 파편적으로 남아 있는 DNA를 해독해 복원한 ‘게놈 정보’로만 존재하던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