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평면"(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 풍부한 의사소통 위해… 인류, 코 빼고 얼굴 돌출부 다 버렸다동아사이언스 l2019.04.19
- 않았고, 귀를 제외한 주요 기관이 다 앞을 향하고 있어서 하나의 밋밋하고 둥근 평면 위에 얼굴이 있는 인상을 준다. 아이들이 얼굴을 둥근 원으로 그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인류가 이렇게 독특한 얼굴을 갖게 된 원인이 밝혀졌다. 폴 오히긴스 영국 요크대 의대 교수와 크리스 스트링어 영국 ... ...
- [주말N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2019.04.13
- (1, 1, 1), (-1, -1, -1) 아닌 6개 꼭짓점 중 하나 이상을 지나는 경우도 살펴봐야 합니다. 이런 평면은 총 3개가 있습니다. 주사위에서 마주 보는 면에 있는 두 꼭짓점을 잡고 회전시켜보면서 생각해보면 쉽습니다. 3개 각각에 (1, 1, 1), (-1, -1, -1) 아닌 꼭짓점이 2개씩 들어있어 3××=이 됩니다. 따라서 n이 3일 ... ...
- 안경 없이도 스마트폰에서 홀로그램을 본다동아사이언스 l2019.03.24
- 한 단계를 덧붙여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평면형 디스플레이에서 대면적 광시야각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구현했다”라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휴대용 기기에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기반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 ...
- '수학 노벨상' 아벨상 첫 여성 수상자에 '수학계 여성 롤모델' 울렌베커 교수2019.03.20
- 공간에서 1차원 직선의 최소화는 어렵지 않게 풀린다. 문제는 3차원 공간에서 2차원 평면을 최소화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공간에서 표면장력을 항상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비누거품이 대표적 사례다. 비누막은 항상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여러 비누막이 접촉해 있으면 ... ...
- 대한지질학회, 학술적 이견 불구 "포항지진은 촉발지진" 공식화 문제 없나 동아사이언스 l2019.03.20
- 진원을 결정한 결과 PX-2 지열정에서 진행된 물 주입이 유발한 미소지진들이 이루는 평면과 포항지진의 단층면해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추공 영상 검증 결과에서는 PX-2 지열정이 3783 m 깊이에 막혀 있었으며, PX-2의 암편 시료를 분석한 결과 3790~3815m구간에서 단층핵에 해당하는 단층비지대가 ... ...
- 포항지진 물 주입이 부른 작은 지진이 쌓여 큰 지진 불렀다(종합)동아사이언스 l2019.03.20
- 확보했다. 이들의 위치를 3차원 공간에 표시한 결과, 이번에 새로 발견된 임계응력단층의 평면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단은 지열정이 이 단층면의 연장면을 통과하는 위치인 3783m 깊이에서 막혀 있는 점을 근거로, 이 단층이 파열됐다는 사실, 2번 지열정에서 급격히 물이 빠지고 ... ...
- 쌀알보다 작지만 민감도 1000배 높아진 '나노센서'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3.13
- 이룬 이 나노입자를 분리한 뒤, 모세관현상을 이용해 유리관으로 물을 빨아들이면 입자 평면이 분리된다. 이후 원하는 위치에 가서 유리관을 뒤집으면 금속 나노센서가 부착된다다. 금속 나노센서는 다양한 표면에 쉽게 부착할 수 있다. 왼쪽부터 쌀알에 붙인 사례, 잎 표면에 붙인 사례, 직물 위에 ... ...
- 그래핀 대체재 흑린 성능 떨어지는 원인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3.11
- 김태경 한국외대 물리학과 교수(오른쪽).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2차원(평면) 반도체 소자로 평가받고 있는 흑린의 성능 저하 원리를 규명했다. 흑린은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고 지만 응용 과정에서 성능이 떨어지는 걸림돌이 작용했다. 이연진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와 ... ...
- KAIST, 삼성과 퀄컴을 특허소송 몰아간 '핀펫' 기술은…동아사이언스 l2019.03.10
- 입체적으로 튀어나온 구조가 상어 지느러미(Fin)처럼 생겨 핀펫이란 이름을 얻었다. 평면구조에서는 한 곳으로만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으나 핀펫에서는 돌출된 상층부를 활용해 3개면으로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다. 핀펫은 크기는 작아지면서도 더 뛰어난 전류구동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 ...
- 반도체에 ‘미니태풍’ 만들어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3.10
- 빛을 쪼여 ‘양자우물’이라고 부르는 독특한 구조를 만들었다. 양자우물은 전자를 평면 안에 가둔 것으로, 전자가 사라지면서 생긴 ‘양공(홀)’과 전자가 서로 짝을 이뤄 마치 수소 원자와 비슷한 일종의 입자인 ‘엑시톤’을 이루게 한다. 연구팀은 반도체를 이용해 마치 거울처럼 빛을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