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계도
도표
도면
투시도
배선도
겨냥도
수평투상
뉴스
"
평면도
"(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
2019.04.13
1과 -1로 이뤄진 n차원 벡터 n개를 무작위로 뽑았습니다. 이 n개와 원점이 n-1차원 공간에 있을 확률은 얼마일까요? 최근 50년 이상 미해결이었던 이 문제를 풀었다고 주장한 논문이 인터넷에 공개됐습니다.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1, 뒷면이 나오면 -1이라고 적어봅시다. 이걸 n번 반복하면 1 또 ... ...
안경 없이도 스마트폰에서 홀로그램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4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기존대비 시야각을 크게 넓히고 픽셀 수를 증가시킨 3차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재생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에도 3차원 홀로그래픽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KAIST 제공 안경을 쓰지 않아도 스마트폰 화면에서 입체 ... ...
'수학 노벨상' 아벨상 첫 여성 수상자에 '수학계 여성 롤모델' 울렌베커 교수
2019.03.20
노르웨이 과학 및 문학 학술원은 미국 수학자 케런 울렌베커 미국 텍사스대 수학과 명예교수를 2019년 아벨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아벨상 위원회 제공 필즈상과 함께 ‘수학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아벨상에서 첫 여성 수상자가 나왔다. 노르웨이 과학 및 문학 학술원은 2019년 아벨상 수상자로 미 ... ...
대한지질학회, 학술적 이견 불구 "포항지진은 촉발지진" 공식화 문제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대한지질학회를 중심으로 구성된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이 질의응답하고 있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대한지질학회는 20일 보도자료를 내고 2017년 발생한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 굴착 과정에서 주입된 물이 주변 단층을 자극해 발생한 촉발지진이라고 밝혔다. 이는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 ... ...
포항지진 물 주입이 부른 작은 지진이 쌓여 큰 지진 불렀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20일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남송리에 있는 포항지열발전소가 가동을 멈춰 적막한 상태다. 연합뉴스 2017년 11월 15일 사상 초유의 수능 연기 사태를 야기한 규모 5.4의 포항지진이 자연적 원인으로 일어난 자연지진이 아닌 ‘촉발지진’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촉발지진은 규모 5.4의 지진 전체가 지 ... ...
쌀알보다 작지만 민감도 1000배 높아진 '나노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3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 금속센서는 제작 방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것이 장점이다. 사진제공 한국연구재단 국내 연구팀 머리카락의 마약 성분을 검출하거나 폭발물을 탐지하고 위조지폐를 식별하는 다용도 나노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 쌀알보다도 작은 크기지만, 검출 속도와 정확도를 ... ...
그래핀 대체재 흑린 성능 떨어지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이연진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왼쪽)와 김태경 한국외대 물리학과 교수(오른쪽).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2차원(평면) 반도체 소자로 평가받고 있는 흑린의 성능 저하 원리를 규명했다. 흑린은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고 지만 응용 과정에서 성능이 떨어지는 걸림돌이 작용 ... ...
KAIST, 삼성과 퀄컴을 특허소송 몰아간 '핀펫' 기술은…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KAIST 제공 KAIST 지식재산권 관리 자회사 카이스트IP(KIP)가 지난달 14일 삼성전자와 퀄컴이 반도체 기술인 ‘핀펫(FinFET)’ 특허를 지속적으로 침해했다며 미국에서 추가 특허침해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6년에도 KIP는 같은 특허에 대한 소송을 제기했고 미국 배심원단은 지난해 삼성전 ... ...
반도체에 ‘미니태풍’ 만들어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연구를 이끈 조용훈, 최형순 KAIST 물리학과 교수와 권민식, 오병용 연구원. 사진 제공 KAIST 국내 연구팀이 반도체 내부에 양자역학적으로 독특한 성질을 갖는 새로운 입자를 형성하고, 이 입자를 이용해 반도체 내부에서 마치 태풍처럼 회전하는 작은 소용돌이를 만들고 통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소 ... ...
버려지는 글리세롤로 수소와 화학원료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3차원 구조의 그래핀 표면 특성을 가지는 탄소지지체를 사용해 백금 나노 입자를 합성하는 과정 과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적 글리세롤 산화반응 테스트 장치를 모식도로 나타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바이오디젤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인 글리세롤에서 수소연료와 화학원료를 동시 생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