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뉴스
"
한쪽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방울 안맺히는 깨끗한 정수기...학생 발명왕 총리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9.13
정수기에서 물이 나오는 부위를 말한다. 물이 맺히는 데는 과학적 원리가 숨어있었다.
한쪽
이 막혀있는 작은 관인 정수기 코크에 물방울이 맺히는 이유는 '대기압'이 작용하기 때문이었고 여기에 물방울 겉 표면에서 분자들이 서로 잡아당기는 힘인 '표면장력'이 더해져 물방울이 오랫동안 코크 ... ...
불치의 '루게릭병', 진행 늦추는 획기적 '완화 치료' 개발
연합뉴스
l
2022.09.06
DB 금지] ALS 환자는 대체로 두 다리의 근력을 비슷한 비율로 상실한다. 연구팀은 환자의
한쪽
척수에만 줄기세포를 이식한 뒤 1년간 추적 관찰했다. 치료받지 않은 다른 쪽 척수(실제론 다리)와 비교해 줄기세포 이식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다. 과학자들은 줄기세포 이식으로 GDNF 생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
2022.09.06
증식을 부추긴다. 또 음식을 먹을 때와는 달리 껌은 부피가 얼마 되지 않아 자칫
한쪽
으로만 씹기 쉽다. 이 경우 씹기근육 쌍의 균형이 깨져 안면 비대칭이 생기고 통증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런 경향이 있다면 의식적으로라도 옮겨가며 씹어야 한다. 물론 안면 비대칭을 껌 씹기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재조명받는 후각 연구
2022.08.09
그 반대로 나타났다. 실제 냄새 분자도 같은 효과를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콧구멍을
한쪽
씩 막고 암의 전개를 보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왼쪽 콧구멍을 막은 생쥐의 왼쪽 후각망울 주변은 오른쪽 후각망울 주변보다 암 발생 빈도가 낮았고 오른쪽 콧구멍을 막은 생쥐는 오른쪽 후각망울 ... ...
'건초더미서 바늘 찾기'…대마젤란운서 '잠자는' 블랙홀 첫 확인
연합뉴스
l
2022.07.19
없었다는 증거로 제시됐다. 초신성 폭발이 일어났다면 폭발력으로 인해 신생 블랙홀을
한쪽
으로 쏠리게 해 타원궤도를 만들었을 텐데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 ...
[제임스웹 첫 영상공개]제임스웹은 어떤 우주망원경인가
2022.07.12
이어 붙인 거대한 거울(주경)이 달려있다. 로켓 안에 탑재될 때는 폴더블폰처럼 거울
한쪽
끝(정육각형 거울 3개)을 접었다가 우주로 나가 로켓에서 분리되면 접었던 부분을 펼친다. 태양열과 빛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패막은 가로 21m, 세로 14m 크기다. 주경 지름은 허블 지름인 2.4m의 2.7배지만 ... ...
코로나 걸리면 지방으로 에너지 잘 못 만든다
연합뉴스
l
2022.07.05
감염 전의 64배로 늘기도 했다. 그런데 세포주에 따라 변화 폭엔 차이가 있었다.
한쪽
세포주에선 거의 80%에 해당하는 지질의 수위에 변화가 생겼지만, 다른 쪽 세포주에선 절반이 조금 넘는 지질만 수위가 달라졌다. 신종 코로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지질은 트라이글리세라이드였다. ... ...
“여름철 낙뢰 피하려면 우산 들지 말고 차량·건물에 머무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2.06.27
빨리 이동하고 부득이하게 뇌운이 접근하는데도 이동해야 한다면 최대한 몸을 낮추고,
한쪽
발만 땅에 접촉하거나 짧은 보폭으로 달리는 것이 좋다. 또 운전중이라면 안전한 곳에 자동차를 멈추고 차에서 내리지 말아야 하다. 자동차에 낙뢰가 내려칠 경우 순식간에 차체 외부를 거쳐 곧바로 ... ...
레고처럼 원하는 기능 맞춤형 조립하는 'AI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배선을 쓰는 대신 모듈끼리 빛으로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을 새롭게 적용했다.
한쪽
모듈에 설치한 발광다이오드(LED)에서 정보를 담은 빛을 쏘면 다른 모듈들이 빛 패턴과 세기를 인식해 다시 정보로 변환하는 원리다. 빛이 칩 전체로 전달되기 때문에 모듈을 어디에 배치해도 정보를 전달할 ... ...
[2022 필즈상 후보](9) 기후변화 예측하는 방정식을 푸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2.06.18
먼지의 높이가 어떻게 변할지 예측하는 것입니다. 코윈 교수는 그런 KPZ 방정식의 해가
한쪽
꼬리가 길게 늘어진 ‘트레이시-위덤’ 분포를 따른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강의 중인 아이반 코윈 교수의 모습 코윈 교수는 2021년에는 입자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여러 모형에서도 트레이시-위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