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력
협조
단합
단결
원조
공동 작용
제휴
뉴스
"
협동
"(으)로 총 302건 검색되었습니다.
[3·1운동 100주년]일제강점기 조선인 과학자를 찾아서
2019.02.27
김근배 rootkgb@jbnu.ac.kr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 과학사 및과학철학
협동
과정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근현대과학사와 남북 과학기술 비교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황우석 신화와 ... ...
도심화재 예측하고 감염병 의심자 걸러낸다...다부처 R&D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있는 남극·북극에서 사물인터넷·로봇·드론 등으로 개발 및 탐사를 수행할 수 있는
협동
이동체 시스템이다. 해수부 주관으로 국토부와 산업부, 과기정통부가 공동으로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이 사업은 극저온 환경에서 시스템을 운용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게 핵심이다. 민군 ... ...
[과학게시판] 클라우드 보안서비스 개발 사업 설명회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31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KIOST의 외국인 연수생,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의
협동
연구원들, KIOST 관계자들이 만나는 교류의 기회를 마련하는 취지로 열렸다 ... ...
늘었다 줄었다...길이 조절 가능한 전기차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위해, 지난해 말 서남권 지역 뿌리기업 등 11개 중소·중견기업이 설립한 ‘대경전기차
협동
조합’과 함께 농업용 전기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중소·중견기업이 전기차 산업 생태계를 이끌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개미의
협동
심
팝뉴스
l
2019.01.12
성공한다. 이미지는 해외 네티즌들을 놀라게 하며 화제가 되었다. 개미들의 놀라운
협동
심과 창의력을 보여준다는 평가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 ...
美는 '선긋기' 러·유럽 '기대감'…최초 달 뒷면 착륙을 보는 엇갈린 시선
2019.01.05
“중국은 미국의 ‘아폴로’ 임무나 옛 소련의 달 탐사 임무와 달리 개방적이고
협동
적인 우주 임무를 지향한다”며 “중국의 달 탐사 임무는 인류 공동체의 꿈을 실현한다는 공유된 운명을 갖고 있으며 중국은 모든 영상과 데이터를 세계 각국의 과학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것”이라고 ... ...
누구나 AI 활용 앱 만드는 시대 온다…2019년 뜰 전략기술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상호작용하는 물리적 환경을 뜻한다. 이 공간은 개방되어 있고 연결되어 있어 서로
협동
가능한 생태를 보장한다. 가트너는 디지털 기술이 인간의 삶에 스며들며 이런 공간의 필요성이 대두됐으며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디지털 윤리와 사생활 보호와 양자 컴퓨팅도 내년에 주목할 기술 ... ...
과기정통부 1차관에 문재인 정부 과학계 실세 문미옥 과기보좌관 임명
동아사이언스
l
2018.12.14
연구교수를 잠시 지냈고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기획정책실장과 과학기술인
협동
조합지원센터 기획정책실장을 지냈다. 2016년 문재인 대통령의 추천으로 더불어민주당에 영입됐고 제20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7번으로 출마해 정치에 입문했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된 직후 ... ...
협상에 성공하려면 중식당으로 가라
동아사이언스
l
2018.12.12
서로에 대해 어떻게 느꼈는지와 관련이 없다”며 “오히려 과자를 먹을 때 얼마나 잘
협동
해서 먹었는지와 관계가 있었다”고 밝혔다. 피시바흐 교수는 “요즘은 원격으로도 협상회의를 진행하지만 식사를 같이 하는 것은 협상성공에 있어 큰 가치를 지닌다”며 “음식을 함께 공유하고 같이 ... ...
"제주 돌고래 지킬 생태연구자 위한 연구비 모읍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02
제주 남방큰돌고래를 연구하는 비영리단체다. 이화여대 에코크리에이티브
협동
과정에서 함께 돌고래를 연구하던 장수진 연구원과 김미연 연구원이 해양동물의 기초 생태 연구를 함께하기 위해 2017년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를 만들었고, 2018년 초, 하정주 연구원이 합류했다. 세 사람은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