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쾌활
명랑
활동
행동
실행
활기
원기왕성
뉴스
"
활발
"(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열 반사 스마트섬유...도시열섬현상 대비책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구성하는 섬유의 분자 구조를 열기를 식히는 데 유리한 방식으로 개량하는 연구가
활발
했다. 연구팀은 실제로 사람이 의복을 착용했을 때 섬유가 수직 방향 상태에 놓인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동안 냉각 기능을 갖는 의복 연구는 주로 섬유가 눕혀진 상태에서 열에너지를 반사하는 분자 구조를 ... ...
동물실험 약물 20개 중 최종 승인 '1건'...대체법 마련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금지하는 국가 늘고 있다.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동물대체시험법 개발도
활발
하다. 일례로 미국은 2036년 동물실험을 전면 금지할 예정이다. 오정화 안전성평가연구소 예측독성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은 “유럽에서는 2013년 화장품 동물실험 금지법이 발효됐고 미국에선 2022년 동물실험 없이 ... ...
[푸드테크 뜬다]③ 도축 없이 고기 먹는 시대…배양육 강점은 '안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지탱하는 ‘지지체’ 연구
활발
국내에서는 배양육 연구 중 특히 지지체 연구가
활발
하게 이뤄지고 있다.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2월 국제학술지 ‘매터’에 쌀과 소의 세포를 합친 ‘소고기 쌀’을 개발해 화제를 모았다. 동물세포를 쌀알에 통합해 새로운 맛과 ... ...
[과기원NOW] DGIST, 뇌 속 세포들 간 소통방법을 집대성한 종설 논문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MIT)와 수행 중인 인공지능(AI) 공동연구 프로젝트가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두 대학 간의
활발
한 국제 교류로 이어지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2021년 시작해 2025년까지 GIST-MIT AI국제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이 프로젝트는 `인간 중심의 물리 시스템 설계를 위한 인간 컴퓨터-상호작용(HCI)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등 초저전력·초고성능의 차세대 전자소자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돼 관련 연구가
활발
하다. 기존 스커미온 연구는 3차원 자석 위에서 진행됐다. 2017년 2차원 자석이 최초로 보고된 이후 2차원 환경에서도 스커미온 연구가 폭넓게 이뤄졌다. 양승모 KRISS 양자자기센싱그룹 선임연구원(왼쪽 ... ...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화산 꼭대기에도 '서리' 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정상의 밝은 부분이 서리다. Adomas Valantinas 제공 선행연구에 따르면 타르시스 고원에는
활발
한 물 순환이 이뤄지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아 서리가 형성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측됐다. 실제로 화성 저위도 지역에서 서리가 관찰된 적은 없었다.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화성 궤도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AI형 메모리 트랜지스터를 구현하기 위한 '강유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FET)' 연구가
활발
하다. 강유전체는 외부 전기장이 없어도 전하가 한쪽으로 치우쳐 극성을 띠는 분극 상태를 스스로 유지할 수 있는 물질로 차세대 메모리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FeFET는 외부 전력 공급이 없을 때도 정보가 ... ...
[의학바이오게시판] 르완다 대통령, 연세암병원 중입자치료센터 방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등이 가톨릭대에 방문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양 대학은 이번을 계기로
활발
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국제학생 교류 등으로 양교의 발전을 이룰 예정이다 ... ...
[사이언스게시판] 김경자 지질연 우주자원개발센터장, 국가우주위원 위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EU)의 최대 연구혁신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국내 연구자들의
활발
한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주관으로 마련됐다 ... ...
유재석 교수, 절개 최소 '3D 완전내시경 심장수술' 500례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심장수술은 가슴뼈를 절개하지 않기 때문에 퇴원 후 바로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다.
활발
한 상체 운동이 필요한 테니스나 골프 등 여가활동도 할 수 있다. 완치율은 기존 수술과 비슷하다. 3D 완전내시경 최소침습 심장수술 빈도가 가장 높은 승모판막성형술 성공률은 99%로 통상적인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