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극
동요
열성
열기
열정
정열
불안
뉴스
"
흥분
"(으)로 총 42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명상이 장수에도 도움이 될까
2019.10.29
늘어났다. 2005년 항경련제 투여 실험과 비슷한 결과다. 연구자들은 “REST를 활성화하고
흥분
성 신경 활동을 줄이면 노화를 늦출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며 논문을 마무리했다. 그런데 왜 항경련제를 노화 억제제로 쓰는 가능성은 언급하지 않은 걸까. 심혈관질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 ...
머리 많이 쓰면 단명한다?
과학동아
l
2019.10.29
하는 유전자를 차단하면 신경세포 활동이 증가해 조기에 사망하는 반면, 신경세포의
흥분
을 억제하는 REST를 늘리자 수명이 길어졌다. 얀크너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가 고차원적인 인간의 두뇌 기능과 수명의 흥미로운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86-019-16 ... ...
韓-美 첫 코로나 관측 성공..."우리의 실력 NASA에 각인시켰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조 책임연구원 등 당시 첫 실험에 나선 주역 네 명을 만났다. 조 책임연구원은 성공의
흥분
이 가시지 않은 듯한 표정으로 “코로나그래프의 성공적인 개발에는 엔지니어 7명을 포함해 약 20명의 국내 연구팀과 기업의 헌신적 노력이 큰 힘이 됐다”며 “미국이 한국을 대등한 파트너로 보기 시작한 ... ...
수술없이 초음파로 뇌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4
TRPA1을 관찰한 결과, 저강도 초음파에 의해 별세포의 TRPA1이 활성화되면 별세포로부터
흥분
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가 분비되고, 차례로 신경세포의 활성도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TRAP1이 있는 쥐와 그렇지 않은 쥐를 대상으로 저강도 초음파에 의한 신경세포 발화 정도를 살펴본 ... ...
업그레이드 된 ‘중력파’ 관측... 블랙홀-중성자별 비밀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9.20
중력파 검출 이후 5개월만인 지난 2016년 2월 인류 역사상 첫 중력파 관측을 발표하며
흥분
을 감추지 않았다. 1915년 천재 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며 존재를 예측한 중력파는 100년만인 2015년 9월 관측 및 확인됐다. 인류 첫 중력파 관측에 혁혁한 공을 세운 배리 배리시 ... ...
[프리미엄 리포트] 고추 vs. 마라…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09.01
신촌세브란스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칼륨 채널은 인체의 중추신경계에서 신경의
흥분
과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제어한다”며 “정맥 마취제나 흡인성 마취제는 칼륨 채널 일부의 활성을 억제해 감각이 전달되지 못하게 만들어 마취 한다”고 설명했다. 혀끝이 가장 먼저 인지, 입술에 ... ...
알츠하이머 치매 PET로 조기 판별 방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다. 글루타메이트는 중추신경계에서 15~20%를 차지하는
흥분
성 신경전달물질로 학습과 기억 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만약 글루타메이트가 과잉 분비되면 신경세포가 지나치게 활성화해 파괴된다. 연구팀은 건강한 쥐와, 태어날 때부터 알츠하이머 치매를 ... ...
백두대간 동물들의 흔적 찾아 숲속에서 펼쳐진 1박2일간의 작은 모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10
걱정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맷돼지를 마주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에 살짝
흥분
하기도 했다. 수목원 관계자는 얼마 안 가 맷돼지 흔적을 찾아 가리켰다. “여기 땅이 움푹 파인 곳이 보이나요? 멧돼지가 킁킁거리고 다닌 흔적입니다. 주로 식물의 뿌리를 먹고 살기 때문에 이렇게 밤새 ... ...
추억의 장소 가면 설레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수용체가 생기지 않도록 유전자를 바꾼 뒤 관찰한 결과 별세포의 오피오이드 수용체가
흥분
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 분비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글루타메이트는 해마 시냅스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을 강화해 장기 기억을 강화했고, 이것이 오랜 시간이 지나서도 특정 장소를 ... ...
[애니멀리포트]반려견 행동을 보면 마음을 알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7.27
따라하면 좋아한다는 신호입니다. 하지만 아직 무는 힘을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너무
흥분
하면 보호자가 다칠 수 있습니다. 손을 물려고 하면 바로 놀이를 중단하고, 장난감도 끝 부분만 물도록 훈련시켜야 합니다.” ● "반려견 물림 사고 훈련을 통해 사라져야" 이혜원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