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가로"(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간편 진단키트로 해양환경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현장에서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했다. 더욱 쉬운 검출을 위해 가로 7.5cm, 세로 2.5cm의 진단키트를 개발했다. 이 진단키트는 얼핏 보면 임신진단키트와 매우 유사한 모양새며 방식도 같다. 와편모조류가 함유된 샘플을 진단 키트에 떨어뜨리면 샘플 속의 와편모조류 항원이 키트 ... ...
- 하루 소주 몇 잔이 몸에 이로운 까닭2015.11.09
-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2014)가 있고, 옮긴 책으로 『반물질』(2013), 『가슴이야기』(2014)가 있다. ... ...
- 도심 속 연료전지 발전소 ‘상암’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상암동 월드컵공원 내 노을공원 입구 옆에는 작은 시설물이 있다. 가로 32m, 세로 18m로 농구 코드보다 조금 더 큰 공간에 은색의 다양한 장치들이 3~5m 높이로 설치돼 있다. 이곳이 바로 상암 연료전지 발전소다. 그런데 발전소하면 떠오르는 거대한 건물이나 높은 굴뚝같은 장치가 없다. 소음이나 ...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 경우 세로가 납작하므로 지평선에 따라 펼쳐진 광경을 보는데 유리하다. 한편 눈동자가 가로로 길쭉하기 측면에서 들어오는 빛이 위아래에서 들어오는 빛보다 많다. 즉 천적이 나타날 확률이 희박한 위아래에서 오는 빛은 줄이면서 천적이 출몰하는 좌우에서 오는 빛은 늘리는 구조다. 파노라마 ... ...
- 병원체에 대한 고찰2015.06.22
- 때문이다. - 네이처 미생물학 리뷰 제공 논문 가운데 나오는 그래프가 인상적인데, 가로축은 숙주의 (면역)반응이고, 세로축은 숙주의 손상정도다. 숙주의 반응이 미약할수록 미생물에 타격을 받아 손상이 심해지고 숙주의 반응이 커질수록 면역계의 타격을 받아 역시 손상이 심해진다. 즉 ‘U’자형 ... ...
- 손목에 차고만 있어도 전기가 생긴다?KISTI l2015.06.09
- 이 기술은 열전소자를 유리섬유 위에 부착해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었다. 가로, 세로 각 10cm의 밴드로 만들어 팔에 부착하면 외부 기온이 영상 20도일 때, 약 40mW(밀리와트, 1000분의 1와트)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윗옷 크기 정도로 만들면 약 2W의 전력 생산이 가능해 휴대전화 충전도 할 수 ...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2015.05.18
- 걸려 죽은 아이의 숫자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도별로 홍역 발생건수(가로축) 홍역이 아닌 전염병에 걸려 죽은 아이의 숫자(세로축)로 점을 찍어보자 역시 양의 상관관계를 얻었다. 연구자들은 이 자료로부터 홍역으로 인한 면역저하 현상이 2~3년 정도 유지됐다는 결론을 내렸다. 벤 ... ...
- 전 세계 나노 분야의 허브 센터 꿈꾼다IBS l2015.05.07
- 이 중 박사과정 학생이 60명가량에 이른다. - IBS 제공 이 단장은 "여기서 대면적이란 가로세로 수cm의 크기를 말하는데, 실제로 챔버 크기만 크게 한다면 더 크게도 만들 수 있다"며 "특히 붕소질소화합물은 대면적으로 처음 만드는 데 성공해 지난해 논문으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구단은 이렇게 ...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IBS l2015.03.26
- 전제가 없다면 성립이 불가능한 개념이다. 인류가 공간을 이처럼 물질과 독립된 무언가로 이해한 지는 제법 오래되었다. 유클리드 기하학의 ‘평행한 두 직선은 서로 만날 수 없다’는 명제를 생각해보자. 여기서 ‘만날 수 없다’는 의미는 평행선을 무한히 연장하더라도 서로 닿거나 교차하지 ...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2015.02.16
- 이유다. 31가지 암에 대해 일생에 걸친 해당 조직의 줄기세포 분열 횟수(로그척도, 가로축)와 암 위험도(로그척도, 세로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한 눈에 봐도 비례관계임을 알 수 있는데 상관계수가 0.8에 이른다. 즉 세포분열횟수가 많은 조직일수록 암이 생길 확률도 높다는 말이다. - ... ...
이전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