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여
간섭
스페셜
"
개입
"(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약을 먹고 누가 가짜 약을 먹는지 모른다. 이를 이중맹검이라고 부르는데, 평가에 편견이
개입
될 여지를 원천적으로 막는 조치다. 그런데 문제는 때로 플라시보 효과가 너무 강력해 의료진조차 크게 당황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몸에 침입한 세균을 죽이는 항생제 임상에서는 플라시보 효과가 거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에볼라 역병으로 2만5000여명이 감염돼 1만 명이 넘게 사망했다(균주 유형 변화와 의료
개입
으로 치사율이 40%로 떨어졌다). SFTS는 동북아시아의 신생 풍토병으로 그 역사가 불과 10여년 남짓하다. 아직 뾰족한 치료법도 없고 바이러스 백신도 나와 있지 않다. 물론 진드기에 물려야 감염되므로 국민 ... ...
육아 로봇이 아이 떨어뜨리면 누구 책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09
문제를 일으키진 않을지. 또, 해커 AI를 통해 특별한 목적을 가진 이익집단이 의사결정에
개입
하진 않을지. 일자리 상실, 부의 불균형 등이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편집후기를 통해 에릭 호르비츠 마이크로소프트 기술자는 “그나마 좋은 소식은 AI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다양한 학과, 산업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문제로 실험동물의 숫자가 너무 적거나(시간과 비용을 아끼기 위해) 연구자의 편견이
개입
된 경우다(예를 들어 도망치거나 공격하는 동물은 피하고 온순한 동물을 잡아서 실험에 이용한다). 한편 예상치 못한 변수도 드러나고 있는데 생쥐의 경우 케이지(우리)를 사육장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생리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작용하는 측면도 있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그렇다고 일부러 불을 내면서까지 생태계에
개입
한다는 게 말이 되는 걸까. 호주 멜버른대 생명과학부 켈리 교수와 스페인 CREAF 루이스 브로톤스 박사가 쓴 이 글에서 소개된 개념은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해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로사에서 열린 ... ...
권력을 얻은 사람이 부도덕해지는 까닭은?
2017.02.26
‘너도 결국 그렇고 그런 인간일뿐’ 등을 강요하는 것 또한 관계에 불필요한 감정을
개입
시켜 이성적인 판단과 신념의 작동을 막는 장치인 것 같다는 느낌을 받곤 했다. 일례로 신고식 같은 ‘고통스러운 통과의례’가 조직에 대한 충성심과 조직의 응집성을 더 높여준다는 연구들도 있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밀도가 어느 수준 이상이 됨을 확인하면 빛을 내놓는다. 최근 이 과정에 인공세포를
개입
해 발광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케니언칼리지 제공 ● 튜링테스트 결과는 39점? 박테리아들이 인공세포가 내놓는 균체밀도 신호 분자에 반응한다는 위의 실험 결과들은 인공세포가 세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특수한 분야에 한해 개발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즉 정교한 구조가
개입
되는 하이테크(high tech) 쪽은 한계가 있다는 말이다. 반면 탄소나노튜브가 첨가제로 쓰여 소재의 강도를 높이거나 전기를 잘 통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로테크(low tech) 쪽에서는 상용화의 폭이 넓어지고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
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종을 ‘핵심종(keystone species)’이라고 불렀다. 이 논문이 나간 뒤 많은 생태학자들이
개입
연구(실험생태학)에 뛰어들었고 다양한 생태계에서 핵심종의 존재가 속속 드러났다. 페인 사단의 전모를 한 눈에 보여주는 페인가계도. 1999년 만든 것이다. - Marian Kohn 제공 한편 페인은 뛰어난 후학들을 많이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등 치료법이 없는 신경퇴행성질환에는 어김없이 면역세포의 식작용이나 염증반응이
개입
돼 있었다. 깜짝 놀란 필자는 ‘수명 연장’의 그 부분을 다시 보며 신경식세포(neuronophage)를 검색해봤다. 그런데 이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 용어이고 뇌에서 식작용을 하는 세포는 주로 미세아교세포였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