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체
교대
교류
전환
변화
치환
대체
스페셜
"
교환
"(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독립’을 꿈꾼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20
통해 들어오는 공기를 예열시켜 실내 공기의 온도에 근접하게 만들어주는 것이다. 열
교환
기를 통하면, 예를 들어 영하 5℃의 바깥공기는 온도가 15℃로 올라가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물론 뜨거운 물을 공급하는 급탕과 일부 냉난방은 별도로 열을 공급해줘야 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2 ... ...
전화위복의 계기가 된 스리마일 원자력발전소 사고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5
규모에 비추어보면 이례적으로 적은 피해였다. 이는 가압수형 경수로의 냉각시스템이 열
교환
기를 중심으로 원자로 쪽과 외부 쪽이 완전히 단절되어 있는데다 격납용기와 격납건물로 이루어진 다중 방호 체계로 방사성물질이 밖으로 퍼져나가지 않았던 덕분이다. 사고 후의 스리마일 원자로(1: 2B ... ...
에너지의 미래, 결국 사람이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3
다르며 사고에 따른 위험성에도 큰 차이가 있다. 가압로는 원자로에서 끓인 물을 다시 열
교환
기를 거쳐 터빈을 돌리므로 방사능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런 차이가 있는데도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세 가지 원자로가 모두 똑같은 원자력 발전소다. 이러한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리고 ... ...
사물과 사물이 소통한다, 사물인터넷!
KISTI
l
2015.03.17
운전자의 기분에 맞는 장소를 스스로 추천해 준다. 미국 교통부는 차량이 서로 신호를
교환
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상중이다. 운전자가 보기 어려운 차량을 보고 위험을 스스로 감지해 자동차가 이를 피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농업 분야에서도 사물 인터넷 활용 시도가 등장했다.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것일까.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와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는 덧셈의
교환
법칙(3+4=4+3)의 한 예일 뿐일까. istockphoto 제공 ● 조삼모사의 생리학 지난 2013년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연구진들은 과체중 또는 비만인 여성 93명을 대상으로 12주짜리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 ...
광우병 소고기, 가짜 건강식품 한 번에 찾아낸다
2015.02.23
분석연구 전문지원장비인 ‘초고자장(800MHz) NMR’ 장치의 모습. 자동 시료
교환
장치가 장착되어 대량의 시료 분석 가능하 다.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식품의 원산지를 한층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분석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광우병이 여전히 여러 국가에서 발병하고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그 결과 성간공간에서 얼음을 이루던 물분자와 성운의 수소분자 사이에 수소원자의
교환
반응이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물분자의 D/H비율이 낮아졌다는 것. 태양에서 멀어질수록 온도가 낮아져 이 반응의 빈도가 떨어졌기 때문에 물분자의 D/H비율이 태양계 내에서도 차이가 난다는 말이다. D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
KISTI
l
2015.02.09
정확성은 배나 비행기의 항해와 통신 그리고 지구 주위를 운행하는 위성과 위치 정보를
교환
하는 GPS와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정확한 시간은 우주 비행사가 우주 공간을 여행하는 데도 매우 중요하며, 항공관제 시스템과 국제 경제와 같은 전 세계 컴퓨터 활동에 매우 중요하다. 여러 ... ...
[이달의 역사] 새로운 심장을 고동치게 하라
KISTI
l
2015.01.19
찾아줄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어쨌든 누군가가 죽어야만 내가 살 수 있다는 생명
교환
의 1:1 법칙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근본적 한계를 지닌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누군가의 희생 없이도 새로운 삶을 얻을 수 있는 방법, 즉 인공심장을 연구하기도 한다. 1957년부터 동물을 이용해 시도된 인공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완성한다. 둘은 논문을 키블에게 보내 조언을 구했는데, 당시 우체국 파업으로 의견
교환
이 지체되면서 결국 ‘피지컬리뷰레터스’에 논문을 투고할 때(1964년 10월 12일), 키블 교수는 앙글레르와 브라우트의 논문이 이미 나왔고 힉스의 논문이 나올 예정임을 알게 된다. 결국 세 사람밖에 줄 수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