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말
어휘
말
글자
보캐뷸러리
워드
word
스페셜
"
단어
"(으)로 총 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지식 없는 AI, 과학 논문 읽어 새로운 소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열을 전기로 바꿔주는 소재다. AI는
단어
들을 조합해 화합물을 만들고 ‘열전’이란
단어
와의 유사성에 의해 순위를 매겼다. 연구팀이 AI가 제안한 상위 10개 후보 소재의 전력 계수를 계산했더니 지금까지 알려진 열전소재의 평균값보다 모두 높았다. 후보 소재 상위 3개는 지금까지 알려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테크니션이 아니라 '과학연구관'이라고 부르라
2019.06.20
police officer)'라고 부르듯, 이제 기술자·테크니션·연구원 따위의 권력관계가 내포된
단어
들을 대체할 때가 됐다. 실험실 테크니션의 문제는 한국 과학기술계의 큰 난제이기도 하다. 이들 대부분이 비정규직이며 제대로 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런 푸대접은 실험실의 효율성에도 ... ...
SNS 게시글은 말한다. 당신이 당뇨에 걸릴 가능성 높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진단하는 일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다만 국가나 생활환경, 문화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단어
가 다를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인구를 상대로 추가 연구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앓고 있는 질환에 따라 페이스북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
. 플로스원 제공 ... ...
"의사일 대신 선택한 AI 개발, 정확해서 뿌듯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AI 붐을 타고 수많은 의료용 AI가 탄생했다. 의무기록이나 유전체 염기서열처럼
단어
데이터나 엑스선 촬영 이미지처럼 영상을 데이터로 한 AI가 대부분이다. 그동안 누적된 진료 기록이나 환자가 갖고 있는 유전자를 검색하거나, 영상을 판독해 종양을 찾아내는 원리다. 반면 루닛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과학에는 그런 합의가 없다. 몇 년 전 나는 유력 일간지 기고문에 ‘쿼크(quark)’라는
단어
를 썼다가 데스크에서 ‘데스킹’ 당한 적이 있었다. 쿼크는 우리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 중 하나로, 이 말이 나온 지가 반세기도 넘었다. 과학용어는 숟가락으로 떠서 입안에 넣어줘야 하지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포기할 줄 아는 용기
2019.05.18
같았다. 사람들에게 빈칸을 채워 낱말을 완성하는 ‘추론’ 과제를 주었다. 매우 어려운
단어
들을 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게 만들었다. 문제를 하나 풀 때마다 정답 또는 오답이라는 피드백을 주었고 한 세트가 끝나고 난 후에 전체 성적을 보여주었다. 참가자 모두에게 ... ...
스마트폰에 AI가 '쏙', 검색결과는 AR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8
데이터를 기억해 새 데이터를 처리할 때 활용한다. 사람이 이전에 나온
단어
로 새
단어
를 추측하는 것처럼 순차적인 데이터에서 정보를 파악해 낸다. 음성을 파악하거나 문장 성분을 파악할 때 주로 쓰인다. AI 용량이 줄면 프로그램을 불러들이는 시간이 절약돼 대기 시간이 거의 없어진다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⑨계산하는 기계 배우기
2019.04.30
것은 혼란스러워 했다. 변수를 더하기 빼기 할 수 있는 숫자라고 하더니 왜 이번에는
단어
와 같은 문자냐는 질문이다. 제법 날카로운 질문이다. 하지만 필자의 대답은 궁색할 수밖에 없었다. 글자와 변수를 합칠 때는 숫자를 담은 변수도 글자가 된다는 정도만 얘기했다. 아이에게 자료형이나 연산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을 할 때 음악 틀면 효과적일까
2019.04.27
또한 달리 해서 나열된
단어
들에서 ‘A’가 쓰인
단어
찾아내기와 같은 단순한 작업과
단어
연상 퀴즈 같은 복잡한 작업을 준비했다. 사람의 성격적 특성으로는 쉽게 지루해지는 특성 또는 ‘지루함 취약성’을 측정했다. 사람마다 지루해지는 정도가 달라서 어떤 사람은 별다른 자극 없이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
2019.04.25
명이 진보시키는 학문이라 생각하게 된다. 한국어로 과학을 검색하면 영재나 천재라는
단어
가 반드시 따라오고, 그건 영어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과학적 천재에게 주어지는 가장 유명한 상은 노벨상이고, 매년 10월이면 전세계는 아주 잠깐 누가 노벨상을 받는지 관심을 갖는다. 물론 요즘엔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