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개
주선
중간
간접
매체
수단
방편
스페셜
"
매개
"(으)로 총 221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 연구팀, 1년전 이미 '신종코로나 출현' 경고했다
연합뉴스
l
2020.01.30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중국의 광대한 국토와 다양한 기후가 박쥐와 박쥐
매개
바이러스의 생물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국제바이러스 분류 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f Taxonomy of Viruses.ICTV)에 등록된 코로나바이러스 38개 중 22개가 중국 과학자들이 박쥐나 ...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박쥐→뱀→사람' 순으로 전파" 中연구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1.23
공교롭게도 사스와 2015년 국내에서도 유행했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도 박쥐로부터
매개
된 코로나바이러스 변종이다. 박쥐는 사람에게 전염병을 가장 많이 옮기는 동물이라는 오명을 갖고 있다.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는 질환만 200개 가까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것이 광견병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바이러스, 진화의 끝은 어디인가
2020.01.21
결과 이와 비슷한 서열을 지닌 박쥐 코로나바이러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간
매개
체가 어떤 동물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박쥐가 출발점이라는 말이다. 어쩌면 박쥐에서 직접 감염됐을 수도 있다. 우한폐렴 환자 5명의 분비물에서 얻은 바이러스의 게놈을 분석한 결과(오른쪽 ... ...
[우한 폐렴 비상]사람 감염되는 7번째 코로나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중국 저장성에서 2017년 처음 발견됐다. 사람에 치명적인 사스 코로나바이러스를 옮긴
매개
체로 지목되는 박쥐는 바이러스가 다양한 돌연변이를 일으키도록 돕는 숙주 역할을 한다. 박쥐에게서 발견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만 12종이 넘는다. 이번 바이러스 발병 이전 CDC가 등록한 사람이 감염될 수 ... ...
[우한 폐렴 비상]기내 감염 위험 없나…전문가들 "마스크·손씻기 권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성 폐렴의 국내 확진 환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바이러스 전파의
매개
로 알려졌던 우한시 전통시장 방문력이나 확진환자 및 야생동물 접촉력이 없다고 답변해 사람 간 전염이 의심되는 상황이다. 20일 기준 중국 내 누적 확진환자 수만 201명으로 일본, 태국, 한국에서도 확진 ... ...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
2019.12.28
만약 일부 인구 집단에서 조금은 과도한 IgE
매개
성 면역 반응이 일어나고, 이러한 개체는 만성적인 기생충 감염을 겪으면서도 몸 안에서 감염이 심각하게 진행되지 않아 기생충과 장기간 공생할 수 있었다고 가정할 수 있을까 ... ...
고기능 플라스틱 소재로 최적의 3D 프린팅 기술 설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해 생기원은 우수 3D프린팅을 가진 기업을 발굴하고 대기업에 연결시켜주는 중간
매개
역할도 하고 있다. 최근식 링크솔루션 대표는 “생기연의 3D프린팅 전문가들이 관련 기술은 물론 대기업과의 연계를 돕고있다”며 “중소기업들은 수준 높은 기술을 보유하더라도 신뢰성 확보가 안되는 사례가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해독차 증기 들이마시면 효과?” 미세먼지 둘러싼 거짓정보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말했다. 그는 “오히려 생리식염수로 콧속을 청소해 미세먼지와,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
매개
물질을 물리적으로 씻어주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콧속을 청소해 폐 안에 든 미세먼지까지 제거할 수 있다는 주장의 영상도 있다. 김 교수는 "미세먼지는 기관지와 세기관지를 거쳐 폐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프로젝트를 승인했고 서아프리카 주민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대성공을 거뒀다.
매개
체인 흑파리의 서식지인 강 인근 주민들은 사상충에 감염돼 각막염으로 고생하다 결국 실명하게 되는 비극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며 살다가 알약 하나의 기적에 환호했다. 1987년 10월 21일, 이제 사장이 된 ... ...
시민과 과학자가 함께 만든 서울의 화분
매개
자 서식지 지도 '시민과학의 위대한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1.30
화분
매개
자가 많이 살고 있는 곳으로 보존이 필요하고, 하늘색으로 표시된 한강변엔 화분
매개
자가 적어 복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5년 동안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한국 도롱뇽을 연구한 아마엘 볼체 중국 난징임업대 교수도 자신의 시민과학 연구 경험을 공유했다. 볼체 교수는 시민들이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