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먹이"(으)로 총 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 정적인 동물이 됐다. 즉 하루에 20시간 동안 잠을 자며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한다. 먹이활동도 주로 밤에 하기 때문에 야생 코알라를 보러 유칼립투스 숲을 찾아간 관광객들은 잠만 자는 모습에 실망하는 경우가 많다. GIB 제공 잡식동물의 딜레마, 해결책은 미식? 반면 잡식동물인 사람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2018.07.10
- 존재인 것 같다”고 쓰고 있다. 깃편모충류의 한 종인 살핀고에카(Salpingoeca rosetta)가 먹이인 박테리아가 있는 환경에서 세포분열을 하며 군체를 이루는 과정을 찍은 사진이다. 오른쪽 아래 숫자는 경과 시간과 분을 뜻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깃편모충류와 동물의 공동조상은 이미 다세포성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즉 포드맵은 소장에서 소화가 잘 안 되는 물질로 대장으로 넘어가서 장내미생물의 먹이가 된다. 그 결과 발효 과정에서 가스가 차고 복통, 설사 같은 증상이 생길 수 있다. 포드맵은 밀뿐 아니라 양파, 우유, 사과 등 다양한 음식에 들어있지만, 밀을 주식으로 할 경우 섭취하는 포드맵의 절반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될만한 무대를 설치해왔을 가능성이 높기도 하다. 눈치챘을 때엔 이미 잘 만들어진 덫에 먹이감으로 놓여진 상황일 수 있다는 것이다. 5. 끊임없는 감시 이 모두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 관심을 빙자한 ‘감시’가 있다. 끊임없이 전화해서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일일이 확인하고 피해자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2018.02.13
- 초파리는 장기적으로 건강에 해로운 칼슘이 없는 먹이와 몸에 좋은 적당한 칼슘이 있는 먹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초파리 역시 짠맛과는 달리 기분 좋은 칼슘맛은 느끼지 못한다는 말이다. 한편 초파리가 진한 설탕물을 마다하면서까지 고농도의 칼슘을 피하는 게 정말 중요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일부는 대장까지 이동해 그곳에 사는, 트레할로스에 민감한 유형의 클로스트리디움의 먹이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실제 일상적인 식사를 한 입원환자 세 명의 회장루(소장의 말단인 회장을 인공항문으로 만든 구조) 분비물에 클로스트리디움을 배양한 결과 RT027은 두 곳에서 treA 유전자가 발현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2017.10.24
- 미치고 있을까. ● 고등어는 괜찮겠지만 광어는 불안 해양동물이 세슘137이 포함된 먹이를 먹으면 세슘137이 몸에 축적되기 쉽다. 그 결과 사실상 일정량의 방사선이 꾸준히 나오는데, 반감기가 30년으로 길기 때문이다. 이런 수산물을 먹으면 세슘137이 우리 몸에 축적되고 따라서 우리 몸에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2017.08.15
- 건 생분해가 거의 되지 않기 때문이다. 자연에는 없는 화학구조로 이뤄져 있다 보니 이를 먹이로 인식해 먹고 소화(분해)할 수 있는 생명체가 별로 없다. 특히 즐겨 쓰이는 플라스틱일수록 더 그렇다. 생산량을 보면 폴리에틸렌(PE)이 전체 플라스틱의 36%를 차지해 1위이고 뒤를 이어 폴리프로필렌(PP,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2017.08.08
- 하는지 알아봤다. 그 결과 클로스트리디움 오르비신덴스(C. orbiscindens)라는 박테리아가 먹이에 들어있는 플라보노이드를 대사해 DAT를 만들고 체내에 흡수된 DAT가 1형 인터페론 시스템을 활성화해 바이러스로 인한 생체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저자들은 논문에서 “독감에 걸렸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2017.08.01
- 작은 통속에 먹이가 들어 있어서 앞발로 꺼내 먹어야 하는 경우도 변이 생쥐가 훨씬 쉽게 먹이를 꺼냈다. 그렇다면 왜 생쥐는 이처럼 앞발가락(손가락?)을 정교하게 쓸 수 있었음에도 그 가능성을 스스로 봉쇄해버린 것일까. 얼핏 생각해도 이런 능력이 생존에 도움이 될 것 같은데 말이다.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