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분리
붕괴
파열
분해
열개
분파
스페셜
"
분열
"(으)로 총 185건 검색되었습니다.
[Green Focus]‘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농도차에 의해 영양염류가 배양기 안으로 계속 유입되고 미세조류는 이것을 먹고 성장․
분열
해 개체수가 늘어난다. 따라서 별도의 에너지 없이 미세조류를 경제성 있는 농도까지 농축시킬 수 있다. 반투과막은 구멍 크기가 매우 작아 배양된 미세조류나 생산된 지질이 빠져나가지 않는다. 이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
IBS
l
2014.09.04
기능을 차단하는 원리이다. 허 교수는 이 원리를 이용하면 세포
분열
, 특히 암세포
분열
을 막을 수 있어 앞으로 암세포 연구와 암 신호전달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6월 4일자 온라인판에는 '광유도 뇌신경세포 성장인자수용체(OptoTrk) 기술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우울증 등 네 질환을 두 그룹으로 나눠보라.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이 묶이고 정신
분열
증과 우울증이 묶이는 게 정답이다. 즉 전자가 신경질환이고 후자가 정신질환이다. 따라서 뇌전증은 전자와 묶이는 질환이다. 많은 사람들이 후자와 묶인다고 생각하고 있었을 텐데 그만큼 우리들이 ... ...
단식의 과학
2014.06.16
(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 1)의 분비감소에 비롯한다. IGF-1은 체내 세포의 성장과
분열
을 촉진하는 인자로 성장기에는 중요한 물질이지만 성인에게서는 오히려 노화나 암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런데 영양과잉인 현대인들은 IGF-1의 분비량도 많아져 문제가 되고 있는 것. 반면 단식을 하면 몸은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즉 모계냐 부계냐)가 불활성화가 될지는 임의로 정해진다. 일단 정해지면 그 세포가
분열
한 딸세포는 불활성화 계열을 유지한다. 바꿔 말하면 포유류 암컷은 사실상 모두 모자이크 개체인 셈이다. 즉 어떤 세포는 부계의 X염색체가 활동하고 어떤 세포는 모계의 X염색체가 활동한다. 이를 잘 보여주는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정도에 따라 13.6% 정도 변한다고 한다. 젖가슴이 이렇게 동적인 기관, 즉 필요할 때 세포
분열
이 왕성하게 일어나야 하는 기관이다 보니 여성에게서 암이 잘 생기는 기관이기도 하다. 한 조사에 따르면 여성이 70살이 될 때가지 유방암에 걸릴 가능성이 8%라고 한다. 1994년 10월 7일자 ‘사이언스’에는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한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2008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는 정신
분열
증치료제로 쓰이고 있는 리튬이 루게릭병 동물모델인 생쥐의 수명을 30일(16%) 연장한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또 뒤따른 소규모 환자임상에서도 비슷한 효과가 나왔다고 한다. 이 결과가 언론에 보도되자 루게릭병 ... ...
[채널A] 쥐 뇌 지도 완성, 다음은 인간…뇌 신경망 연구
채널A
l
2014.04.17
겁니다. [인터뷰 : 승현준/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인지과학과 교수] 자폐증이나 정신
분열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질병들은 신경세포 자체엔 문제가 없지만 신경망 연결이 잘못됐을 수 있습니다. 수십 년 뒤, 인간의 뇌 지도가 완성되면 기억과 성격이 뇌에 저장되고 활용되는 인간 마음의 ... ...
안정성과 유전정보의 다양성 돕는 재조합 기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8.27
보인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수십 년간 궁금증으로 남아있던 체세포와 생식세포
분열
특이적 유전자 재조합 기전의 명확한 과정을 제시하였고, 이는 궁극적으로 암초기 발생 원인에 대한 과정이나 다운증후군 등 염색체 이상 질환의 원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위의 ... ...
헨리에타 랙스, 죽고 나서야 전 세계를 여행한 여인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세포가
분열
할 때마다 짧아지는 염색체 부위인 텔로미어(소진되면 세포도 더 이상
분열
을 못하고 죽는다)를 복구하는 텔로머라제라는 효소를 엄청나게 만들어 ‘불멸의 삶’을 획득했다. 시료가 채취되고 수개월 뒤 사망한 헨리에타는 물론이고 남은 가족들도 아내 또는 엄마의 세포가 배양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