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유전
유전자공학
스페셜
"
유전공학
"(으)로 총 408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DNA 교정 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최초로 개발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감염생물학과 총괄책임교수. 샤르팡티에 교수는 10월 13일 본지 기자와 만나 “크리스퍼 활용 분야 중 가장 기대하는 것은 인간 유전자 교정 치료”라고 밝혔다. 송경은 동아사이언스 기자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유전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인간 배아를 교정하게 될 때 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식량 작물의 경우
유전공학
을 이용한 기존의 유전자변형생물체(GMO)와 크리스퍼 작물을 동일선상에서 볼 것인지 여부가 최근 유럽과 일본에서 도마에 올랐다. 다우드나 박사는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가격을 낮춰 크리스퍼가 여러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올해 노벨화학상은 여성 학자 두 명에게 돌아갔다. 프랑스의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와 미국의 제니퍼 다우드나가 공동 수상했다.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화학상은 생명의 신비를 담은 DNA를 마음대로 잘랐다가 붙이는 유전자 교정 도구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개발한 2명의 여성 화학자에게 돌 ... ...
삼성, 자율 4족 로봇·혀 미각이론 증명 등 31개 난제에 396억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홈페이지 캡처. 사람이 맛을 뇌가 아닌 혀에서 바로 느낄 수 있을까. 스스로 목적지를 찾아가는 4족 보행 로봇 개발은 가능할까.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올해 하반기부터 지원할 연구과제 31개를 선정하고 연구비 396억3000만원을 지원한다고 6일 밝혔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5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가 2020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왼쪽부터) 하비 올터(85) 미국 국립보건원(NIH) 부소장과 마이클 호턴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교수, 찰스 라이스(68) 미국 록펠러대학교 교수.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혈액을 통해 감염되고 만성 간 질환 ... ...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한 과학자들 노벨생리의학상(재종합)
2020.10.05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가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왼쪽부터 차례대로 하비 올터(85) 미국 국립보건원(NIH) 부소장, 마이클 호턴 캐나다 앨버타대 교수, 찰스 라이스(68) 미국 록펠러대 교수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C형 간염 ... ...
노벨생리의학상 받은 미·영 트리오는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가 2020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왼쪽부터) 하비 올터(85) 미국 국립보건원(NIH) 부소장과 마이클 호턴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교수, 찰스 라이스(68) 미국 록펠러대학교 교수.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한 바이러 ... ...
[AI대학원 가이드] (중) AI교수 5인이 말했다 "AI대학원에선 이런 공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포스텍은 지난 6월 인공지능(AI) 대학원과 AI 연구원 개원식을 가졌다. AI 분야 석∙박사급 고급인재를 육성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AI대학원 건물. 포스텍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9월 포스텍을 2기 ‘인공지능(AI) 대학원’으로 선정했다. AI 대학원은 AI 핵심지식과 역량을 갖춘 석박 ... ...
[코로나19 연구속보] 인공지능, 코로나와의 전쟁 끝낼 주력군 양성한다
2020.09.25
알약과 시계, 로봇 일러스트.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이 코로나 신약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있음을 상징한다. IEEE 스펙트럼 제공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인공지능(AI)이 성과를 내고 있다. 제약사와 AI 신약개발 벤처가 손잡고 5년씩 걸리는 코로나 치료제 개발을 6개월 안에 끝내기 위해 공동연구를 ... ...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논문 인용 최상위 0.01% 연구자에 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IBS 나노입자연구단장)가 클래리베이트가 선정한 논문 인용 최상위 연구자에 선정됐다. 서울대 제공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사진·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장)가 파급력이 큰 연구로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최상위 0.01% 논문을 쓴 우수 연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