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기소개"(으)로 총 5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왜 '미루기의 달인'이 되어가는가2021.06.05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백하자면 필자는 미루기의 달인이다. 내일의 일은 내일의 내가 할 거라거나 어차피 마감이 가까워지면 글을 쓰게 되어 있다는 생각들이 삶의 신조인 것 같기도 하다. 나만 그런 것은 아닌 모양인지 미루기는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자기통제 실패 사례다. 이후 분명 괴로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그때로 돌아가도 후회할 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다 2021.05.29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꼬리뼈를 다쳤다. 일주일 전쯤 침대에서 내려오다가 하필 미끄러운 플라스틱 포장재 같은 것을 밟고 빙판에서 미끄러지듯 순식간에 뒤로 넘어졌다. 손도 짚지 못한채 넘어져서 꼬리뼈로 모든 충격을 다 받아냈다. 괜찮아지겠지 하고 뭉개다가 며칠이 지나도 통증이 가라앉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두 번째 팬데믹'을 슬기롭게 극복하려면2021.05.23
- 코로나19 장기화로 많은 이들이 지속적인 우울과 무기력을 호소하고 있다. 이런 때일수록 마음에 새겨야 할 사항들이 있다. 연합뉴스 제공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첫 번째 팬데믹(대유행)이 아직 다 지나가지도 않았건만 벌써부터 두 번째 팬데믹을 우려하는 목소리들이 높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무료함은 때로 과감한 도전 정신을 낳는다2021.05.15
- 지루함이란 감정이 위험을 감당하는 용기가 될 때가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무료함은 흥미로운 감정이다. 종일 할 일이 없어서 가만히 있거나 전혀 재미있지 않은 강의를 세 시간 동안 연달아 듣노라면 지루함이 밀려온다. 이내 몸이 베베 꼬이고 가슴이 답답해져 온다. 이러한 상태는 꽤 고통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주 어딘가에 반물질로 이뤄진 반별이 있을까2021.05.11
- 지구에서 우주로 방출되는 반물질 이미지. NASA 제공 우주 저 끝에서 반물질로 만들어진 반행성이 주위를 돌고 있는 반별로 이뤄진 반은하가 순진한 우주인을 기다리고 있는 건 아닐까? 우주 어디에도 반물질은 없다고 누가 장담할 수 있나? - 프랭크 클로우스, ‘반물질’에서 지난해 이맘때 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예의 바르고 아무도 다치지 않는 위반, 유머2021.05.08
- 유머러스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픽사베이 제공 마음이 울적할 때면 인터넷에서 귀엽거나 재미있다고 하는 영상이나 스탠드업 코미디를 찾아보곤 한다. 한바탕 웃고나면 기분이 한결 나아진다. 일 하다가 지루할 때에도 웃음을 유발하는 뭔가를 보고 나면 다시 정신차릴 힘이 나곤 ... ...
- [랩큐멘터리] 태양보다 100경배 밝은 빛을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21.05.06
- 방사광가속기는 ‘빛 공장’으로 불린다. 전자가 자기장 속을 지나가면 힘을 받아 휘어지며, 이때 빛이 나온다. 이 빛이 방사광이다. 카메라가 빛을 이용해 사진을 찍듯 방사광가속기는 방사광을 이용해 아주 작은 물체의 사진을 촬영한다. 방사광은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까지 넓은 파장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통제감 환상, 의지력처럼 보이는 잘 포장된 객기2021.05.01
- '통제감의 환상'이란 내 힘으로는 사실상 통제할 수 없는 일도 통제할 수 있을 것처럼 느끼는 것을 말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얼마 전 현대인의 직업병 척추와 경추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와중에 디스크도 의지력으로 나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잠깐 멈짓한 일이 있다. 그러고 보면 정신 질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구도 ‘양’보다 ‘질’2021.04.24
- 행복한 사람들에게 있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위대한 성취 같은 것들 보다도 ‘양질의 인간관계’였다. 픽사베이 제공 점점 사는 게 바빠지면서 친구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 하는 일도 사는 곳도 다 달라서 얼굴 한 번 보는 것도 녹록치 않음을 느낀다. 그럼에도 잊 ... ...
- [인간 행동의 진화] 아빠의 진화2021.04.18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유성생식을 하는 동물이면 모두 엄마와 아빠, 즉 어머니와 아버지가 있다.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자연의 세계에는 자기 아버지가 누군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확실한 아버지가 있다고 해도, 새끼를 지켜주고, 돌보는 아버지는 예외적인 경우다. 포유류의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