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스페셜
"
전지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2021년 성인과학교육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참여해 약 185건의 회계, 인사, 물류데이터를 구축했다.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은 2차
전지
제조공정에 가상현실을 접목한 이른바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해 실증하는 데 성공했다. 인포뱅크는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주행 컴퓨팅모듈 개발 및 서비스 실증사업에 참여해 자율주행 분야 국내외 ... ...
우울감은 당신의 뇌를 잠식한다 …뇌 연구 최전선으로 떠오른 '코로나 우울'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PET)으로 우울증에 걸린 환자의 뇌를 관찰한 뒤 이상 활동을 보이는 뇌 부위에
전지
자극을 주는 치료법이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지난해 4월 이 방법을 활용한 치료 연구에서 우울증 치료 효과가 90%에 달한다는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아직은 코로나19 치료에 활용하기까지 검증과정을 더 ... ...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 성공...목표궤도에 안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발사 후 약 160분경에는 남극에 위치한 KSAT의 지상국과 교신을 통해 위성의 태양
전지
판이 성공적으로 전개됐는지 여부를 최종 확인한다. 대전 소재 항우연 지상국과 첫 교신은 발사 약 8시간 17분 이후 이뤄진다. 22일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실린 JSC 글라브코스모스사의 소유즈 2.1a 발사체.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뛰어 넘는다는 '보로핀'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4
보로핀이 그래핀보다 높은 전도성을 가진다고 분석한다. 이 때문에 전자공학에서부터 광
전지
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보로핀은 매우 반응성이 큰 물질이다. 2014년 미국 브라운대 연구팀이 이론적으로 보로핀을 만들 수 있다고 증명한 이후 합성을 ... ...
[표지로 읽는 과학]상용 태양
전지
한 걸음 다가선 페로브스카이트
동아사이언스
l
2021.02.27
31%로 예상된다. 이번에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효율인 25.2%는 전 세계 태양
전지
효율을 비교하는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REL) 차트에 2019년 9월 최대 기록으로 등재됐다. 현재는 석상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연구팀의 25.5%가 이곳의 최고 기록이다. ... ...
한국, 차세대 태양광 페로브스카이트 공식 비공식 최고효율 기록 획득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실리콘 태양광
전지
판 소재에 뒤를 이을 차세대 소재로 지목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광 소재의 최고 효율 ... 세종파이낸스센터 과기정통부 기자실에서 '초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소재 개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
5억km 여행끝 화성 안착… 美 화성탐사선 '퍼시비어런스' 생명흔적 찾는다
2021.02.21
크기다. 6개 바퀴가 달렸으며 과학장비 7대와 카메라 23대를 장착했다. 플루토늄 원자력
전지
를 쓰는 퍼시비어런스는 화성에서의 1년인 687일간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특별 임무는 화성 토양 샘플 수집이다. 화성의 흙을 지구로 가져오는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다 ... ...
美 퍼시비어런스, 19일 오전 5시48분 화성 착륙 시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계획에 따라 움직인다. 먼저 퍼시비어런스는 화성 착륙 10분 전 비행에 사용한 태양
전지
판과 연료 탱크가 들어있는 ‘크루즈 스테이지’를 분리한다. 이후 초당 5.5km의 속도로 대기권에 진입하면 대기 마찰로 인해 속도가 서서히 줄어든다. 대기권 진입 후 80초가 지나면 방열판 온도는 약 130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파장의 적외선과 자외선을 흡수하는 분자 구조를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태양
전지
는 태양광을 실생활에 쓸 수 있는 전력으로 전환하는 장치로, 전력은 전류와 전압의 곱이다. 모든 파장의 빛을 흡수하면 전류는 커지지만 전압은 작아지기 때문에 전력을 최대로 하는 파장만 선택적으로 ... ...
50살 맞은 KAIST...혁신과 산업 발전의 ‘담대한 발걸음’
2021.02.15
2020년 3월 QS가 전세계 1368개 대학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0년 48개 학문 분야별 순위에서도
전지
·전자공학과 재료과학 등 2개 분야가 각각 세계 17위와 19위를 차지했다. ● “기업가치 10조원 넘는 스타트업 10개 육성” KAIST는 1989년 대덕으로 이전한 이후 지금의 캠퍼스를 유지하고 있다. KAIST 제공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