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편
단편
토막
새김질
조소
조상
새김
스페셜
"
조각
"(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WHO "17개 후보 1~3상 진행중" 속도 내는 코로나19 백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중국 클로러생물제약사와 글로벌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등이 개발한 단백질
조각
방식 백신 후보물질도 1상을 진행 중이다. 그 외에 중국과학원,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독일생명공학사 큐어백 등이 역시 백신 후보물질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전임상 단계의 후보물질 수는 132개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 한번에 쥐의 파킨슨 병 완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7
도파민 수준도 정상 쥐와 비슷한 정도로 회복됐다. 파킨슨병을 앓도록 한 쥐는 인공 DNA
조각
을 주입하자 3개월 내 정상으로 돌아왔고 죽을 때까지 파킨슨병 증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단 하나의 단백질 스위치만 조작함으로써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푸 교수는 “PTBP1을 강제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해석할 수 있다.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만드는 과정을 생각해 보자. 먼저 컵에 얼음
조각
을 잔뜩 넣는다. 거기에 물을 붓고 마지막으로 에스프레소 샷을 넣는다. 얼음이 녹으면서 커피의 온도가 내려가 시원한 아메리카노를 즐길 수 있다. 이는 우리가 매일 겪는 익숙한 현상이다. 만약 이 상태에서 ... ...
정은경 "산발적 감염 계속되는 건 무증상 감염자 상당수 있다는 뜻"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WHO)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이 격리해제 기준을 변경했는데, 죽은 바이러스
조각
들이 오랫동안 양성으로 나오기 때문에 PCR만으로 격리해제 기준을 정하는 것은 적절성이 떨어진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라며 “국내에서도 바이러스 배양 검사와 PCR 결과를 연계 분석한 근거자료를 갖고 ... ...
[코로나19의 유체물리학]’변기 뚜겅 닫고 물내리세요. 바이러스 튀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게티이미지뱅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전파를 막기 위해 용변을 본 뒤 반드시 변기 뚜겅을 닫고 물을 내려야 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 ... “혈액이나 분변에서 검출된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는 이미 사멸해 감염력을 잃은 유전자
조각
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
코로나19 세포 침투력 강해졌다지만 실제 감염력 차이 아직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있는 단백질분해효소인 세린단백질가수분해효소(TMPRSS2)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두
조각
으로 나눈다. 이 과정 이후 비로소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인체세포에 침투한다. 논문에서 연구팀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614번 아미노산의 변이에 주목했다. 약 3만 개로 이뤄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게놈에서 2만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37-1798)는 개구리의 다리를 절개하다가, 개구리 다리의 근육신경조직을 두 가지 다른 금속
조각
들에 접촉시켜 놓으면 개구리의 다리에 경련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볼타는 이듬해에 자신의 결과를 왕립학회에 알렸다. 지금 우리가 쓰는 건전지의 원형이 바로 볼타전지이다. 전지는 ... ...
1억원짜리 로봇 바텐더가 만든 칵테일 드셔보실래요?
연합뉴스
l
2020.06.09
로봇의 몸값은 무려 1억3천만 원. 로봇 바텐더 카보는 칵테일을 마시기 딱 좋은 얼음을
조각
해 줍니다. 카보라는 이름도 동료 바텐더들이 사각형의 얼음을 원형으로 만드는 '아이스카빙'을 한다 해서 지어준 것인데요. 2017년 첫 출근을 한 카보는 위스키에 들어가는 얼음을 사람보다 예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14만 명의 유전자 지도, 유전질병 잡는 해답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5.30
범위의 DNA가 바뀌는 구조 변이도 관찰했다. 질병과 관련한 유전자 기능 문제는 이런 긴
조각
전체가 떨어져 나가거나 중복 혹은 대체되는 구조 변이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이러한 변이가 가능한 영역 44만 3769개를 찾아내 목록화했다. 이 목록은 변이로 인한 병에 적용할 약물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문화 교류' 근거 제시한 장신구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불가리아 베이초 키로 동굴에서 발굴된 석기다. 1~3, 5~7은 날카롭게 끝을 벼린 돌칼 및 그
조각
이고, 8은 가장 긴 돌칼이다. 4는 뼈로 만든 것과 비슷한 장신구로 사암을 깎아 만들었다.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제공 이 같은 결과는 유럽 땅에 현생인류가 생각보다 일찍 진출했다는 사실을 밝혔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