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폴"(으)로 총 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2016.12.30
- 여겨지는 이유도 대칭성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1928년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폴 디랙이 반물질의 존재를 제기하면서 우주의 대칭성에 근본적인 균열이 드러났다. 디랙의 이론에 따르면 빅뱅 이후 우주는 에너지에서 물질과 반물질이 같은 양 생겨나고 소멸하는 공간이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 ...
- 그린란드 빙하, 완전히 녹아 사라졌던 시기 존재한다동아사이언스 l2016.12.11
- 얼음이 대부분 사라진 상태가 오래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폴 비어만 미국 버몬트대 교수는 비슷한 연구를 진행했음에도 이와 정반대의 연구결과를 내놨다. 그린란드 동부 해저 퇴적층의 동위원소를 분석한 결과, 지난 750만 년 동안 그린란드의 빙하는 크기를 줄였다 ... ...
- 피해망상과 환각…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은?2016.05.23
- 는 세포막의 구성성분일 뿐 아니라 항염증, 항산화 효과도 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의대 폴 앰밍거 교수는 “사람들은 나에게 오메가3지방산이 약물만큼 효과가 있는지 묻곤 한다”며 “그런데 내가 보기엔 더 나은 것 같다”고 말했다. 앞에도 잠깐 언급했지만 조현병은 대부분 청소년이나 성인 ...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2016.02.23
- 클러크 맥스웰, 양자역학 수식으로 반물질이라는 정말 말도 안 되는 개념을 이끌어낸 폴 디랙이 떠오른다. 생물학 분야에서는 지금까지 과학이 인류에게 준 가장 큰 충격이라는 진화론을 개척한 찰스 다윈과 앨프레드 월리스가 있다. 원자론을 과학으로 부활시켜 근대화학의 기초를 쌓은 존 돌턴도 ... ...
-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IBS l2016.02.02
- 아토과학의 대가인 폴 코쿰(Paul Corkum) 캐나다 오타와대 교수와 공동 연구를 하기도 했다. 폴 코쿰 교수, 독일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대의 페렌츠 크라우스(Ferenc Krausz) 교수 등이 아토과학을 창시한 연구자들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고체 분야에서 관련 성과가 있으면 이들이 노벨상을 수상할 ...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2016.01.11
- 것일 뿐, 더 많이 알게 됨에 따라 바뀌거나 ‘개선’될 수 있는 대상이다. - 윌리엄 폴, ‘Immunity(면역)’에서 학술지 ‘네이처’ 2015년 12월 17일자에는 잘못된 과학상식, 즉 신화를 다룬 장문의 기사가 실렸다. 잘못된 과학상식 다섯 가지를 제시하며 그 실상을 얘기하는데 다섯 가지 신화는 다음과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에이즈 환자 목숨 구한 면역학자 ‘윌리엄 폴’2016.01.07
- 미국 정부는 1994년 NIH 산하에 에이즈연구사무국을 만들고 폴을 초대 국장으로 임명했다. 폴은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최선의 치료법을 찾았고 그 결과 강력한 항레트로바이러스요법이 확립돼 에이즈 환자 수백만 명의 목숨을 구했다. 79세의 나이에도 45년째 면역실험실 실장으로 왕성히 ... ...
- DNA 복구에 대한 과학자들의 수다IBS l2015.12.29
- 찾은 3명의 과학자인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의 토머스 린달 명예 교수, 미국 듀크대 폴 모드리치 교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아지즈 산자르 교수에게 돌아갔다.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DNA는 뉴클레오티드라는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뉴클레오티드는 염기, 당, 인산의 3가지로 이뤄지는데,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피임약의 아버지 ‘칼 제라시’2015.12.26
- 광활한 땅을 사들여 SMIP(Syntex Made It Possible(신텍스 덕분)의 약자)라고 불렀고, 폴 클레를 비롯해 유명 화가의 작품을 사들였다. 이렇게 폼 나게 살던 제라시에게 청천벽력 같은 사건이 일어난다. 1978년 스물여덟인 딸 파멜라가 우울증으로 농장에서 자살한 것. 제라시는 이때의 충격을 끝내 극복하지는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거대 잠자리의 비밀을 풀어낸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 2015.12.22
- 끝에 타계했다. 1935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이리에서 태어난 버너는 지질학도인 형 폴의 영향으로 미시건대에서 지질학을 전공했고 1962년 하버드대에서 퇴적물의 황화철 형성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시카고대를 거쳐 1965년 예일대에 자리를 잡은 버너는 2007년 은퇴할 때까지 42년 동안 ... ...
이전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