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회생활 못하는 네안데르탈인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영국 옥스퍼드대와 런던 자연사박물관 공동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의 두개골 구조를 분석한 결과 네안데르탈인의 뇌는 시각과 움직임에 더 많은 영역이 할당돼 있다고 발표했다.기존 연구에 따르면 고위도 지역에서 진화한 인류일수록 ...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분석하고 있다. 결과는 그간의 가설이 사실일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호버그 교수와의 공동 연구 결과가 실제로도 맞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는 셈이다. 사자촌충, 인류 역사 새로 밝힐까이를 바탕으로 어떤 연구를 할 수 있을까. 인류 진화와 이주와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 아시아 ... ...
- [수학뉴스] 48번째 메르센 소수 찾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소수 중 가장 큰 소수를 찾아 냈다고 밝혀 화제다. 지난 2월 쿠퍼 교수는 ‘메르센 소수 공동 프로젝트(GIPS)’를 통해 자릿수가 무려 1742만 5170자리 인 소수 ‘257885161-1’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가장 큰 소수는 2008년 에디슨 스미스에 의해 발견된 ‘243112609-1’로, 자릿수가 1297만 8189자리다.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높다.영화 속에서 이렇게까지 사실적으로 묘사한 건 감독이 스탠리 쿠브릭이요, 공동원작자가 과학적 사실에 충실한 묘사를 중시하는 하드SF로유명한 아서 클라크이기 때문일 것이다. 보통은 중력을 세밀하게 묘사한 영화를 찾기 어렵다.어떻게 착륙하는 행성마다 중력이 지구와 그렇게 비슷한지 ... ...
- 친환경 벽지, 만능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2011년 2월까지 이영규 실내환경분석센터 박사팀이 아토피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공동 연구다. 3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연구팀은 우선 환자의 집 벽지와 바닥재를 모두 친환경 제품으로 교체했다. 친환경 제품 시공 전과 시공 4주 후, 8주 후, 12주 후 등 총 4차례에 걸쳐 임상 중증도 평가(EASI)와 ... ...
- 태양풍은 초신성 연구용 입자가속기?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미국항공우주국과 유럽우주국, 이탈리아우주국 공동연구팀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 호가 토성 주위의 충격파에서 초고에너지로 가속된 전자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현상은 초신성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과 비슷하다.초신성이 폭발한 뒤 잔해가 빠른 속도로 ...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제대로 궤도에 안착했는지 각종 데이터를 분석하지요. 나로호의 경우, 한국과 러시아가 공동작업을 했기 때문에 1단과 2단이 같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일도 했어요.윤수빈 : 그런데 나로과학위성은 왜 타원궤도로 도나요?조상범 박사 : 2010년 발사된 천리안위성은 우리나라의 첫 ... ...
- 과학도 풀지 못한 미스터리 조각, 흑피옥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첫 번째 시도는 2006년 11월에 있었다. 정건재 전남과학대 동북아문화연구소장이 서울대 공동기기원 정전가속기연구센터에 의뢰했다. 당시 정 교수는 흑피옥에 묻어 있는 유기물을 측정했는데, 약 1만 4300년 전의 유물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흑피옥이 우리가 아는 어떤 문명보다도 앞서는 ... ...
- 야생의 배꼽, 세렝게티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있어 앞으로 우리 야생동물의 기생충과 질병을 더 활발히 연구할 수 있게 될 거예요. 공동연구도 더 활발해지고요.근데 왜 동물 질병과 기생충을 연구하냐고요? 줄리어스 케이유타위리 연구본부장이 설명해줄 거예요.“많은 질병과 기생충을 동물과 사람이 공유합니다. 동물 연구는 궁극적으로 ...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없다고 알고 있다. 그런데 독일 루드비히 막시밀리언대와 막스플랑크 연구소 양자광학부 공동연구팀은 약 10만 개의 칼륨 원자를 수 nK(나노 캘빈, 1nK는 10억 분의 1K)까지 냉각시킨 뒤 실험적 조작을 거쳐 ‘음의 온도’ 상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언뜻 들으면 상식을 깨는 연구처럼 들린다. 그러나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