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목
강좌
교과안
교과목
내용교과
내용
d라이브러리
"
교과
"(으)로 총 1,978건 검색되었습니다.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알다시피 산소와 수소를 전기방전해 물을 만들려면 막대한 장치가 필요하다. 중학교
교과
서에는 그 원리를 담은 그림만 나와 있고, 과학대사전에 그려진 합성장치는 수만볼트(V)가 걸리는 유도코일을 갖춰야 한다.그러나 네 여학생은 수소와 산소가 혼합된 유리파이프 끝에 달린 철사 양끝을 ... ...
학부과정은 폭넓은 기초지식 쌓는 장(場)이 돼야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신설학과들은 대개 우수한 학생을 끌어들이기 위해 첨단 학문에 걸맞는 명칭을 붙였지만
교과
내용을 들여다보면 기존 학과들과 별차이가 없어 오히려 학문의 폭만 좁힌 꼴이 됐다.대학마다 비슷한 학과들이 즐비한 원인으로 교수정원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사람들도 있다. 국립대학의 경우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변형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허다하다.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오랫동안 일반
교과
서에서 기본적인 이론으로 수용하고 있었던 지형의 윤회설이 최근 부정되고 있는 것은 극히 당연하다. 왜냐하면 지형윤회설은 지각운동이나 구조운동 화산운동 등 격변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지형은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테란 어떤 물건의 둘레에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토성의 테라고 하는 것이 맞다. 이것은
교과
서에 조차 틀리게 표현돼 있다.용암과 마그마.용암이란 마그마가 지표로 흘러 나온 것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하깊은 곳에 있는 용암'이라는 식의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프톨레마이오스 지구중심설 →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주상절리를 보여주는 국수산과 해식동굴도 함께 보여주는 관음동굴은 주상절리의
교과
서 같다는 것이 탐사단의 평가였다.사자바위와 투구봉 사이에서 발견한 하도(河道 channel structure)도 탐사단을 흥분시키는 수확이었다. 육지의 퇴적암층에서는 흔히 발견되는 하도지만 화산섬인 울릉도에서는 ...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사고력이 어느 정도인가를 시험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과
서 이면에 있는 뜻을 알 때까지
교과
서를 깊이 파고 들어야 한다.그런데 대부분의 학생은 문제집 위주의 단편적 공부로 높은 점수를 따려고 하는데 이는 극히 위험한 수학공부방법일 뿐아니라 시험종료와 동시에 잊어버리는 순간만을 위한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풍조 때문이 아닐까요. 나름대로 체계를 갖춘 일본
교과
서를 구해다가 그대로 번역해서
교과
서로 쓰는 일은 비일비재하잖아요.박정웅 3기는 아니지만 국수산(비파산)의 주상절리는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교육자료라는 생각이 들더군요.고의장 안그래도 국수산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 ...
'과학기자재 보내기 운동'을 다시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못한다면 애써 마련한 과학기구들도 먼지만 뒤집어 쓴 채 녹슬 수밖에 없다.과학
교과
운영 내적인 문제는 더 많다. 90년 교육부 조사에 따르면 국민학교의 경우 48개학급이 겨우 실험실 1개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전체의 79%를 차지한다. 중고등학교의 경우도 그 비율은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덩치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러한 의문을 품어 보았던 적이 있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현재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
서에는 한반도에 인간이 등장한 것은 구석기시대 전기인 70만년 전부터라고 기술돼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학계 성원 모두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으며, 실제로 한반도에 처음 사람이 살기 시작한 때에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교육에 관계된 여러 문제가 깊이 논의됐는데, 결론은 관련된 단체들, 특히 KAAS, 지구과학
교과
교육연구회, 우주소년단 지도교사협회가 긴밀하게 협조해야 한다는 쪽으로 모아졌다.KAAS도 이에 발맞춰 교육간사를 중심으로 한 교육지원팀을 구성했다. 아울러 올여름 한국 아마추어 천문학 역사상 최대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