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민"(으)로 총 1,91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과학기술의 미래 자립이냐 종속이냐과학동아 l1987년 05호
- 실적을 바탕으로 20년 후인 2006년의 세계를 예측한 일이 있다. 그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약 3만달러가 돼 일본 20만달러, 서독 10만달러, 미국 6만달러에는 못미치지만 당당히 선진국 대열에 접어든다는 것이다. 또 대만 출신의 일본 문명사가인 ‘사세휘’(謝世輝)는 최근의 저서 ‘2 ...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과학동아 l1987년 05호
- 어떡하나 걱정했는데 요즘은 자리가 없어서 서서들을 정도로 대성황”이라며 “우리 국민들의 발명에 대한 관심이 대단하다는 단적인 증거”라고 말한다. 특히 학생들을 중심으로 젊은층의 관심이 높은 것은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사례발표 후 발명교실에서는 전문가를 초빙, ... ...
- '우리 마을 아니라면 원전 건설 찬성'과학동아 l1987년 04호
- 10월 우리나라 5대도시와 원전이 소재한 양산군과 월성군 주민 2천21명을 대상으로 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밝혀졌다.조사에 따르면 원전의 계속 건설에 대해 찬성이 74.4%로 반대 22.0%보다 많았다. 찬성의견은 도시보다 읍면이, 교육수준이 낮고 연령이 적을수록 많았다. 한편 거주지역 10㎞이내의 건설에 ... ...
- PartⅢ 한국인이 주의할 점 ▶콘돔은 꼭 ▶면도기 등 공동사용기회 줄여야과학동아 l1987년 04호
- 특별한 치료약이 개발되지 않은 지금, 한국에 더이상의 AIDS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은 국민 개인마다의 예방 대책을 생활화 하는 것과 정부 차원의 철저한 대책 수립및 그에 따른 실천일 것이다 ... ...
- 한국정보산업협회 회장 이용태 박사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이런 방법들이 시행되고 개인용컴퓨터 값이 컬러TV값보다 싸지는 시점에서는 우리 국민들도 컴퓨터를 생활의 필수도구로 사용하리라 확신합니다."현재 자신의 위치를, 관계 업계 학계의 지원을 받아 전문기술자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매우 이상적인 자리라고 만족해하는 이박사는 내심 ... ...
- 과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학습자료의 다양화가 시급하다과학동아 l1987년 04호
- 교과서와 중·고등학교의 과학 교과서를 살펴보면 큰 차이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민학교 자연 교과서는 '~을 알아보자' '~을 살펴보자' '~을 비교하여 보자' '~을 재어보자' '은 어떻게 되었는가' '그 까닭은 무엇인가?' '~에 대하여 이야기하여 보자' 등과 같이 배움책(work book) 형식으로 꾸며져있기 ... ...
- 인공자장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전개되어갈 것인가를 미루어 더듬어 보았다.먼저 자기와 자장에 대하여 조금 살펴보자.국민학교때의 실험을 통해 이미 잘 알고 있는 것처럼 쇠가루를 평면위에 놓고 그 중심에 막대자석을 놓으면 쇠가루는 자석주변에 선을 그리면서 늘어선다(그림1). 쇠가루를 늘어서게 하는 힘이 바로 자기이며 ... ...
- 결핵퇴치, 새로운 결의로 전염성환자 16만명이나 돼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시작한 1962년에 이미 우리나라에는 1백20만명 이상이 되는 결핵환자가 있었고 대부분의 국민이 결핵균에 감염받고 있었다.세째 그동안 정부가 적극적인 결핵퇴치 사업을 전개, 유병률을 1965년에 비하여 절반 이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으나 아직도 약 80만명(전염성 환자 16만4천명)이나 되는 환자가 ... ...
- 내가 쓰는 컴퓨터 능력은 길들이기 나름과학동아 l1987년 04호
- IBM-XT 기종 1대, 트라이젬(애플 호환기종)1대, 패미콤-150 1대가 있어서 중학교 2학년인 딸과 국민학교 6학년인 아들과 같이 컴퓨터를 사용한다. 8비트인 트라이젬과 패미콤-150에서 그래픽 프로그램과 게임은 두 애들이 더 잘하고 있다. 처음에는 게임만 하던 애들이 작년부터는 트라이젬에서 베이직 ... ...
- 쉽고 재미있게 과학공부를 잘하려면…과학동아 l1987년 03호
- 탐구하는 습관을 기르자알에서 깬 애벌레가 번데기를 거쳐 나비로 태어나듯이 우리는 국민학교를 거쳐 중학생이 되었고 앞으로 고등학교 학생으로 될 것이다. 중학교 3학년의 과학 공부를 통해 알아야 할 것은 크게 나누어 다음 여섯가지이다.1. 에너지와 일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에너지는 여러가지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