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면
밑
밑바닥
땅
마루
최저
밑면
d라이브러리
"
바닥
"(으)로 총 2,348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상도 지층 속 공룡의 자취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우선 석고가 땅에 달라붙지 않도록 공룡발자국 화석
바닥
에 비닐을 깐다. 그러나 원형 그대로의 석고모형을 얻고 싶다면 비닐 대신 기름이나 비눗물을 써야 한다. 소석고와 물을 붕어빵용 반죽 정도로 무르게 섞는다. 그런 후 공룡발자국에 석고가 굳기 전에 잽싸게 ... ...
화성에서 발견된 얼음 저수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필요가 있을 때 특히 거름종이와 함께 가열해서는 안될 때에 이용된다 그림과 같이
바닥
에 작은 구멍이 무수히 뚫려있다 1883~1952 독일과 스위스에서 활약한 러시아 태생의 화학자 러시아의 도르파트에서 태어났다주로 독일에서 교육을 받고 라이프치히 대학 등에서 화학을 연구하여 1907년 학위를 ... ...
진화하는 컴퓨터의 피서법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열 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필름이 열을 흡수해 패드 속 특수물질로 전달한다.
바닥
온도가 48℃(최고 70℃까지도 올라간다)인 노트북이 5분 안에 30℃ 이하로 냉각된다. CPU에 붙어 있던 시원해 보이던 철판방석 ‘히트싱크’를 컴퓨터 전체로 확장한 셈이다.● ● 그러나 잠시 원점에서 생각해 볼 ... ...
카펫서 몸무게 재면 10% 더 나가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저울의 눈금은 공장에서 딱딱한
바닥
을 기준으로 매겨져 있다. 푹신한 카펫이나 딱딱한
바닥
에서나 받침점의 위치가 같아지도록 저울을 개량해 시험한 결과 몸무게 차이는 10%에서 2.5%로 줄었다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맡았다. 당시 긴급 탐사에서 건져 올린 청자는 뻘층 표면으로 노출된 것들이다.
바닥
이 뻘이라고는 하지만 호미가 부러질 정도로 단단해 뻘층을 파내고 청자를 인양한다는 것은 보통 어려운 작업이 아니다. 따라서 해양유물전시관측은 일단 해저 표면에 노출된 것만 수습했다.그렇게 2백11점의 ... ...
이동통신이 지배하는 정보의 우주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된다. 냉장고와 슈퍼마켓이 원격통신 시스템으로 연결돼 있어 우유나 오렌지 주스가
바닥
이 날 즈음엔 자동으로 주문이 되도록 설정해놨기 때문. 안방에 들어서니 오디오에선 내 기분에 맞는 테마 곡이 흘러나온다.기계와 기계의 커뮤니케이션휴대폰뿐만 아니라 가전기기, 사무용 기기, 심지어 패션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된다. 이런 속도 차이는 곧 강
바닥
이 받는 힘(충격)과 비례하므로 강의 낙차가 클수록 강
바닥
은 깊게 팬다.래프팅을 하면서 중요한 것은 강의 낙차보다 홀 주위에 생기는 역류 현상이다. 따라서 더 중요한 점은 홀의 모양에 따라 역류의 형태가 결정된다는 것이다.상류에서 하류를 향해 바라보았을 때 ... ...
현실과 90% 똑같은 사이버관광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특별히 할 일이 없는 김군, 아침을 은 후 오늘은 무얼 할지 고민에 빠진다. 할 일 없이 방
바닥
을 뒹굴기는 싫고, 뭔가 정말 재밌으면서 유익한 일은 없을까.그때 우연히 10원짜리 동전에 그려진 다보탑이 김군의 눈에 들어온다. “그래, 결정했어. 국사시간에 배운 신라의 역사도 직접 느껴볼 겸 경주 ... ...
한옥 초석에 스며든 지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자랑할만한 아름다움을 갖고 있다.기단은 왜 만들까. 인류 최초의 집은 땅을 조금 파고
바닥
을 다져 그 위에 허름한 지붕을 덮은 움집이었다. 움집은 인공의 노력이 최소로 들어간, 아직 몸통부와 지붕이 분리되지 않은 초보적 건축 형태지만 그런대로 비바람을 피하기 위한 피난처 역할을 충분히 ... ...
골프공이 포물선을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사이클로이드다. 우리 선조들은 기와의 모양을 사이클로이드로 만들면 빗물이 지붕에서
바닥
으로 빨리 흘러내릴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높이 나는 매도 땅에 있는 먹이감을 보고 먹이감이 있는 곳까지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따라 낙하한다. 우리 선조나 매는 사이클로이드를 수식이 아닌 삶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