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d라이브러리
"
상상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비대칭이면서 오목한 종 모양 때문입니다.보통 아름다움이라 하면 완벽한 대칭을
상상
하겠지만, 에밀레종은 살짝 비대칭입니다. 종 맨 아래 부분에 새겨진 무늬와 금세라도 날아갈 듯한 비천상 조각은 종을 비대칭으로 만드는 원인이죠. 이 미세한 비대칭은 바로 맥놀이라는 현상을 만듭니다.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4차원 물체를 보는 것도 가능할까요? 3차원의 세계에 살고 있는 우리가 4차원의 물체를
상상
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시간여행자의 말을 자세히 들어 봅시다. 시간여행자는 똑같은 사람을 그렸지만 나이에 따라 모습이 서로 다른 여러 그림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그림이 시간에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첨단기술의 발전을 따라가는 과학관이 돼야 한다는 뜻이다.“과학관은 미래를 보여주고
상상
을 키워주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합니다. 시대에 맞는 온라인 과학관도 고려 중입니다. 입시 위주 교육에 젖어 있는 청소년이 과학관에서 좋은 콘텐츠를 접해 미래에 한국의 빌 게이츠가 되면 좋겠습니다 ... ...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부품을 이동하는 데 드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미래에는 오래전부터 과학자들이
상상
했던 도넛 모양의 우주정거장이 탄생할 것이다.핵융합 장치인 토카막에도 ‘도넛’이 들어 있다. 핵융합은 원자핵 몇 개가 합쳐지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을 말한다. 태양은 내부에서 수소핵들이 ... ...
조립식 천체망원경 HT-40400 DIY 망원경으로 겨울밤을 만끽하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리튬폴리머 전지를 써 가볍고 안전하다.제논 라이트 2400펠리칸 | 6만 6000원소형 전등으로
상상
할 수 없는 1만cd(칸델라, 빛의 양을 표시하는 단위)의 밝기로 50m 떨어진 곳도 환하게 비춘다. 여기에 물속 20m까지 들어가도 끄떡없는 방수 기능까지 갖췄다 ... ...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때 그로 인한 인류의 발전사를 예측하지 못했듯이, ‘원자력’이라는 힘 또한 우리의
상상
을 뛰어넘는 엄청난 가능성이 있는 에너지입니다.”우리나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 수입 비용만 해도 연간 1000억 달러(약 117조 원). 경제적으로 어마어마한 비용이거니와, 화석 에너지가 고갈되며 에너지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문제가 되고 있어. 아래 뉴스들을 봐. 지구에 다시 빙하기가 찾아올 거라는 건 도저히
상상
할 수도 없을걸? 앗! 뜨거워!" 빙하가 녹고 있다!최근 미군 당국은 지난 10년 동안 정찰위성으로 촬영한 사진 1000점을 공개했다. 이 사진들은 지구 온난화로 북극 빙하가 얼마나 줄어들었는지를 보여 주고 있다.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진화하고 있었는지 이제 알겠지? 미래에는 어떤 포장이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해 줄지
상상
해 보렴. 사람들이 발전시킨 과학이 다시 편리한 생활로 돌아온다는 건 생각만 해도 멋진 일이니까~ ... ...
[허풍의 퍼을 세계일주] 뉴욕시에 영웅 탄생!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않소? 졌으면 바로 소원을 들어줘야지. 남자가 한 입으로 두 말한다는 것은 경성에 서는
상상
도 할 수 없는 일이오.”“도형이라면 마지막 문제도 풀 겁니다. 난 단지 도형이의 실력을 한 번 더 보고 싶은 거요.”“그래도 약속은 지켜야지.”허풍이 바락바락 우기지만 도형이 허풍의 말을 자르고 ... ...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잘랐을 때 그 단면에 나타난 곡선입니다. 원뿔 두 개를 모래시계처럼 붙여 놓은 모습을
상상
해 보세요. 두 개의 원뿔을 수직으로 자르면 위와 아래에 두 개의 곡선이 생기는데, 이것이 바로 쌍곡선입니다. 평면 위에 두 점이 있을 때 두 점까지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을 쭉 이어도 쌍곡선을 그릴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