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d라이브러리
"
수상
"(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1997년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정부가 수여하는 ‘신진 우수연구자 대통령상’을
수상
해 5년간 10만달러(약 1억원)를 지원받았다. 당시 이 소식이 언론에 잠시 소개됐을 뿐 국내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과학자다.하지만 미국 관련 학계에서는 ‘전설의 인물’로 통한다. 1991년 미국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5개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여기에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정보성 그래픽 부문
수상
작을 소개한다.| 정보성 그래픽 부문 | 형광의 진수(Fluoressence : The Essence of Fluorescence)셰릴 아론, 주식회사 오메가 옵티컬형형색색의 무지개가 떴다. 무지개를 이루고 있는 모자이크 조각 하나하나는 여러 가지 ... ...
2005 노벨상 세상을 사로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복지에 기여하고 있다. 꾸준한 지원과 헌신을 통해, 가까운 미래에 한국 과학자에서
수상
자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올해 노벨 물리ㆍ화학ㆍ생리의학상을 받은 과학자들과 그들의 업적을 살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5 노벨상 세상을 사로잡다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2.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할 때는 비록 작지만 양자 잡음 때문에 정확도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노벨상을
수상
한 또다른 2명, 홀과 헨쉬 교수가 주도한 고분해 주파수 측정이나 광주파수 표준기 연구가 바로 양자잡음 한계까지 빛의 세기를 측정한 성공사례다.레이저로 탄생한 초정밀 분광학홀과 헨쉬 교수는 레이저를 ... ...
2. 다재다능한 중매쟁이 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출신 과학자 가운데 31명이 노벨상을 받았다. 노벨화학상 이후 노벨평화상까지
수상
한 미국의 화학자 라이너스 폴링도 이 학교의 교수였다. 한편 매사추세츠공대는 슈록 교수를 포함해 61명의 현직 또는 졸업생이 노벨상을 받았다.자리교환 반응에서는 인체와 환경에 해롭지 않고 분자량이 적은 ... ...
줄의 열의일당량 측정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실험으로 1850년 왕립학회원이 됐고, 1870년 영국 과학계 최고의 영예인 코플리 메달을
수상
했다. 그의 업적은 일(에너지)의 단위인 줄(J)로 기려지고 있다. 재 · 현 · 실 · 험줄이 1850년에 발표한 열의 일당량은 4.15J/cal였다. 이 값은 20세기에 들어와 4.184J/cal로 수정됐지만 당시의 열악한 실험 장치로 그 ... ...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그 성질을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아 1904년 영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
했다. 레일리는레일리는 1842년 영국 에식스주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존 윌리엄 스트럿인데 1873년 아버지가 죽자 조부 때부터 이어온 귀족의 작위를 받아 레일리 남작 3세가 됐다. 칠삭둥이였던 탓에 발육상태가 ... ...
56년의 난제 다시 미궁에 빠지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노벨물리학상을
수상
한 모트 박사가 1949년 발표한 모델인데 마치 이번 결과가 노벨상을
수상
한 연구를 뒷받침한 이론인 양 묘사되고 있다는 것이다. ‘56년간 미해결 현대물리가 풀렸다’는 보도자료의 제목 역시 과장된 표현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물리학회의 한 금속산화물 연구자는 “김 ... ...
과학발전의 밑거름 - 노벨상 사이버 박물관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위해 더 많은 에너지가 사용된다. 갤러리 코너에서는 1998년부터 매년 진행된 콘테스트
수상
작을 통해 초등학생의 꾸밈없는 에너지 상상력을 만날 수 있다 ... ...
생명과학이 만드는 아름다운 예술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9월 29일~10월 4일)에서 동시에 개최될 예정이다. 지난해보다 더욱 발전한
수상
작들을 지면을 통해 미리 만나보자.동면최기주 ·서울보건대 전자현미경실 (바이오문화상)쥐의 연골세포를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작품이다. 연골기질(파란색) 안에 숨어 있는 연골세포(보라색)가 마치 얼음 속에서 동면을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