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수 없다는 뜻이다. 이런 점들이 물리학자들을 불편하게 만든다. 어쩌면 인류는 다시 한번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할지도 모른다.그래서 최근 물리학자들은 표준모형을 포괄하는 더 큰 이론인 표준모형 이후의 물리학(Beyond the Standard Model·BSM)을 연구하고 있다. 이론가들은 새로운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의생을 기려 비를 세우고 영복을 비나니, 인간을 용서하고, 더 나은 세상에 태어나, 대자연을 벗 삼아 마음껏 나래 치며 뛰어 놀기를 소원합니다.’2016년 붉은원숭이의 해를 맞아 기획된 이 기사가 그들의 숭고한 희생을 다시 한번 떠올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하나다. (밑줄 칠 준비가 되셨는지?) ‘자연 선택이 복잡한 적응을 만든다. 달리 말하면, 자연 선택은 개체의 번식 성공도(=적합도)를 늘리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왜 이 결론을 다음 달까지 기억해야 하냐면, 이 명제는 사회적 행동의 진화에 대해서는 완전히 틀린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아니,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액시온이 변환된 빛(광자)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론적인 계산에 따르면 액시온 입자는 자연상태에서 1050초 정도의 시간(우주의 나이보다 길다!)이 흘러야 광자 두 개로 변환된다. 하지만 미국 플로리다대 물리학과 피에르스키비 교수는 몇 가지 조건이 맞아 떨어지면 광자로 변한 액시온을 검출할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갓 입학한 두 학생 니라지 카얄과 니틴 삭세나, 그 지도교수 마닌드라 아그라왈이 n자리 자연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어떤 상수 C에 대해 Cn12번 안에 알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과연 그래프 동형 문제가 소수 판별 문제처럼 몇십 년 뒤에 P에 들어가게 될까요? 그 답을 하루 ... ...
- [소프트웨어]신비로운 수,소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정의상 1은 소수에서 제외하기 때문에 2보다 큰 자연수를 쭉 늘어놓습니다.2의 배수 체로 자연수를 걸러 2를 제외한 2의 배수를 소수 후보에서 제외시킵니다. 다음은 3의 배수, 그 다음은 5의 배수, 이런 식으로 수를 거르는 겁니다. 그러면 소수만 남게 되지요. 매우 단순하지만 확실하게 소수를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수 있다. 인체 독성이 적은 PLA 수지도 친환경 재료라고는 보기 어렵다. 고분자가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몸 속에서 녹는 의료용 생분해성 PLA 수지도 있지만, 의료용이 아닌 분야에서 이런 고가의 재료를 쓸 확률은 높지 않다.전문가들은 지금까지 알려진 3D 프린팅의 독성이 극히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정도로 어렵지만, 한번 깨달으면 그 아름다운 모습에 감탄할 수 밖에 없다.물리학자들은 자연계의 4가지 힘, 즉 중력과 전자기력, 약력 그리고 강력을 결국에는 통일된 물리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입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의 세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욱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세탁되는 과정에서 PFC가 떨어져 나와 공기 중으로 증발하는데,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고 축적된다는 게 더 큰 문제다. 경규림 그린피스 홍보 담당자는 “왁스와 실리콘 계열의 대체 물질이 이미 있지만, 고어텍스의 이미지가 워낙 좋아 아웃도어 업체들이 포기하지 못하고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특이한 식과 답을 발견했다. 바로 소수로 이뤄진 식의 결과가 자연계에서 가장 완벽한 도형이라는 원을 나타내는 값, 즉 π였던 것이다. 오일러는 여기서 더 나아가 오일러 곱셈공식이라는 일반화된 식의 일부 값도 알아냈다. 그가 연구한 식의 2제곱 부분에 2 이외의 다른 수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