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훔쳐낸 뒤 로그인해 게이머가 갖고 있던 아이템을 공범 해커에게
전달
한다. 이런 식으로 습득한 아이템을 현금거래 사이트에 내 놓고 판다.실제로 2007년 국내에서는 한게임과 메이플스토리 사용자들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같은 정보가 대량으로 중국에 전송되는 일이 있었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생물농약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약물에 펩타이드를 붙이면 조직세포를 투과하는 약물
전달
체가 된다. 펩타이드를 나뭇가지처럼 일정한 구조가 반복되는 고분자 물질로 만들면 약물이 너무 빨리 신장에서 흡수돼 오줌으로 배설되는 것도 막을 수 있다.화장품은 이 펩타이드의 항균 성질을 이용해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해일이거든. 판경계 부분의 지각이 미끄러지면서 발생한 지진의 에너지가 그대로
전달
되기 때문에 엄청난 파괴력을 갖게 되지. "이번 대지진으로 일본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지역에서 크고 작은 피해가 발생했어요. 하지만 쓰나미를 제외한 지진 자체의 파괴력은 2월에 있었던 규모 6.3의 뉴질랜드 ... ...
낯선 땅에서 만난 고려인 친구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연락이 없는 것이 걱정돼 밖을 서성인다.자정이 다 돼 갈 무렵 드디어 또 다른 정보가
전달
된다.“숫자배열에 대한 퍼즐 같구나. 아까 해결한 문제와 연결돼 무언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 같아.”쪽지에 있는 숫자는 간단했다.“검은색은 숫자와 위치가 맞는 것이고, 흰색은 숫자만 맞고 위치는 ... ...
음악 들으면 기분이 좋아지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도파민은 음식을 먹거나 무언가를 성취했을 때 뇌에서 나와서 기쁨을 느끼게 주는 신경
전달
물질이랍니다.캐나다 맥길대학교 심리학과 로베르 자토르 교수팀은 사람들에게 음악을 들려준 뒤, 사람의 뇌 속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장치로 촬영을 했어요. 그 결과 사람이 음악을 들으면 학습과 기억을 ... ...
소리공학연구소에서 찾은 소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것도 소리를 유익하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야. 소음을 막기 위해서는 소리의 진동이
전달
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해. 자동차를 만들 때도 이런 원리를 이용해 소음을 최대한 줄인단다.공부 잘 되는 소음?공부를 할 때 음악을 듣는 친구들이 많지? 그건 공부하는 동안에 귀가 심심해서 그렇대.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안전띠도 작동할 수 있다. 센서가 ‘사고 나기 직전인 상황’을 감지하면 모터에 신호가
전달
돼 안전띠를 강하게 잡아당긴다. 프리세이프티 안전띠는 승객에게 경고를 하기도 한다. 차가 미끄러지고 있거나 급정거할 때, 경로를 이탈했거나 졸음운전으로 차가 일정치 않은 방향으로 달릴 때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1976년 영국 셰필드대의 안토니 베이커 교수는 자기력을 2T 정도 주면 신경세포의 정보
전달
속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85년,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마침내 베이커 교수팀은 TMS를 개발했다.][DBS와 TMS는 정확한 자극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영상유도장치가 개발돼 있다. 컴퓨터단층촬영(CT ... ...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정작 우승은 C가 한다.따라서 가수들은 청중이 다음 방송에서도 보고 싶게 만드는 감동을
전달
해야 한다. 무대에 소품을 준비하거나 자신만의 감동적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함께 전한다. 그리고 편하게 노래를 부르기 보단 고음의 호소력 짙은 목소리를 앞세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청중에게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것이다. 전해질을 통해 이온이 이동하는 거리를 줄이면 전도율이 높아져 전기를 더 잘
전달
한다.연료전지를 연구하는 많은 과학자 중 이 이론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얇은 연료전지를 만드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다. 꿈의 에너지라고 믿었던 연료전지 연구도 난관에 봉착했다. 그러나 남이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