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근거 없는 자신감도 도움이 안 되긴 마찬가지다.장애물을 떠올리며 현실로 돌아와야심리
학자
들은 동기부여에서 계획과 실천의 다음 단계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방법을 오랫동안 연구했다. 그중 오늘 소개할 방법은 ‘정신 대비(mental contrasting)’라는 방법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동기부여가 될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아직 비트코인이 편리하게 쓰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학자
들은 앞으로 비트코인이 한 단계 더 진화하거나 더 매력적인 새로운 가상화폐가 등장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어요.가상화폐는 과연 안전할까?가상화폐가 널리 사용되기 위해 풀어야 할 숙제가 있어요. 바로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
학자
를 만들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1850년대까지는 이곳 출신인 걸출한 수
학자
가 없었다.반면, 퀸즈 칼리지가 배출한
학자
중에는 논리대수를 연구하는 ‘조지 불’도 있었다. 모리아티가 살던 곳에서 비교적 가까운 대학이라는 장점도 있다. 퀸즈 칼리지가 1849년에 문을 열었고, 모리아티가 늦어도 18세엔 이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을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있어요. 수리생물
학자
도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는 사람이잖아요? 수리생물
학자
중에는 금융회사나 구글, 페이스북 같은 회사에서 일하며 그 능력을 펼치는 사람도 있어요. 융합학문을 잘 알아야 하는 과학정책전문가 로 활약할 수도 있고요.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분야에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철사로 만든 가짜 어미를 우리에 넣었다. 우유를 가진 건 철사로 만든 어미였다. 당시
학자
들은 사랑은 식욕과 같은 원초적 본능이 충족돼야 발생하는 2차적인 감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새끼 원숭이가 당연히 우유를 가진 철사 어미 쪽으로 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원숭이는 천으로 만든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다윈을 떠받들던 진화
학자
들이 발끈한 건 당연하다. 20세기 초반 유전
학자
들과 진화
학자
들은 서로 치고 받으며 무려 30년을 싸웠다.1930년대 초반 로널드 피셔, 슈얼 라이트, J.B.S. 할데인 세 사람이 다윈과 멘델의 대화합을 끌어냈다. 단단한 입자 같은 유전자들이 키, 몸무게 같은 연속적인 변이도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2013년부터 설비 개선에 돌입해 지난 해 6월 13TeV의 높은 에너지로 재가동을 시작했다. 물리
학자
들은 더 높은 에너지로 가동되는 LHC에서 암흑물질이 생성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만약 암흑물질이 생성된다면 LHC는 두 개의 입자 검출기로 그 흔적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그런데 LHC에서 암흑물질의 ... ...
[Career]도전! 유니스트 12 ‘촉매’처럼 사람들을 이어주는 연구자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올 수 있어야 연구도 잘 하게 됩니다.” 김 교수는 연료전지의 촉매를 개발하는 과
학자
다. 촉매란 반응에 참여하는 물질 간의 효율을 높여주는 물질을 말한다. 효율이 중요한 공학에서 촉매가 필요하지 않은 곳은 없다.그렇기때문에 촉매를 연구하는 김 교수의 실험실은 다른 실험실과 공동 연구를 ... ...
리만가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만약 리만 가설이 참이라면 이런 소수에도 규칙이 있다는 소리가 된다. 그래서 몇몇 수
학자
들은 리만 가설이 해결되면 획기적인 소인수분해법도 개발되리라고 보고 있다. 한편에서는 이것이 전혀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말한다. 기하서 연세대 교수는 “리만 가설과 소인수분해는 직접적인 관련이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보통 사람의 눈에는 광케이블을 꽂은 쥐의 모습이 불편하지만 실제 실험을 하는 과
학자
들 입장에서 불편한 것은 이것이 아니다. 문제는 이런 실험 장비가 쥐의 행동을 제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TV에서 쳇바퀴를 열심히 돌며 실험에 참가하고 있는 쥐의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높은 활동성을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