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6,16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가 화산 폭발이 남긴 과학의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1
16일에 촬영된 위성사진. EU지구관측 프로그램 코페르니쿠스 센티널-2 위성 촬영. 프랑스
국립
우주센터(CNES) 제공 이달 15일 오후 1시 10분(한국시간) 남태평양 통가 인근 해저에서 역대급 화산 폭발이 일어났다. 통가 화산이 분출할 당시 폭발음은 미국 알래스카까지 전달됐다. 화산재와 화산가스가 만든 ... ...
[과학게시판] 중앙과학관, 제임스웹우주망원경 팝업 전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1.21
국립
중앙과학관에 전시된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의 축소 모델.
국립
중앙과학관 제공 ■
국립
중앙과학관은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의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기원하는 팝업 전시를 내달 27일까지 과학기술관 1층 쇼룸에서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지난달 25일 발사된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 ...
코로나 백신 4차 접종해도 오미크론 변이 예방효과 '불충분'…새 백신 필요성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2.01.18
효능이 델타 변이에 비해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서는 40분의 1로 떨어졌다. 지난 12일
국립
중앙의료원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도 기자회견을 통해 코로나19 백신 기본접종 완료만으로는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65세 미만 ... ...
화성 탐사 로버가 찾아낸 가벼운 탄소…생명체 존재 증거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1.18
하우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교수 연구진은 1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공개한 논문에서 “큐리오시티가 화성에서 채취한 암석과 토양에서 미생물 존재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탄소 동위원소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탄소는 두 종류의 안정적인 동위원소 형태로 ... ...
파우치 "오미크론이 엔데믹 전환점 될지는 답하기 어려운 문제"
연합뉴스
l
2022.01.18
코로나19) 사태의 마지막 대유행이 될지 예측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이 17일(현지시간) 말했다. 대통령 수석 의학고문이기도 한 파우치 소장은 이날 화상회의로 진행된 세계경제포럼(WEF)의 '다보스 어젠다'에 참석해 "그게(오미크론 변이) ... ...
中 베이징올림픽 경기장 100% 재생에너지로 전력 공급…첫 탄소중립 동계올림픽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2.01.17
모든 경기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충당할 계획이다. 사진은 중국 장자커우시에 위치한
국립
바이애슬론센터의 모습이다. 베이징올림픽조직위원회 제공 중국이 오는 2월 4일 개막하는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친환경 올림픽을 천명했다. '오염왕국'이라는 오명을 벗고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 ...
[영상]남태평양 해저화산 분출 20km 높이 화산구름…한때 미국·일본 등 쓰나미 경보·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2.01.16
미국
국립
기상청은 미국 서부 해안과 하와이에 쓰나미 주의보를 발령했다. 미국
국립
기상청은 트위터를 통해 “미국 해안에도 1~3피트(약 0.3~0.9m) 높이의 파도가 발생할 수 있다”며 “첫 번째 파도보다 그 이후의 파도가 더 클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해저 화산이 분화한 경우 물속에서 큰 ... ...
[표지로 읽는 과학]줄어드는 동물 다양성, 지구상 식물도 위기 다가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6
물고 있는 사진과 함께 이 같은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에반 프리크 미국 라이스대
국립
사회환경통합센터 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팀은 기후변화로 동물의 다양성이 줄면서 식물 번식력에도 제약이 생겼으며 그 결과 식물이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이 59.7%나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를 ... ...
[지구는 살아있다]북아메리카가 얼어붙은 시절이 있었다
2022.01.15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기후는 예측할 수 없는 상태로 변할지도 모릅니다. 밴프
국립
공원의 애서배스카 빙하 주변에는 ‘1908년’이란 연대가 적힌 표석이 있습니다. 1908년에는 빙하가 이곳까지 내려와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어쩌면 저와 여러분이 이 빙하를 보는 마지막 인류가 될지도 ... ...
[인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2.01.1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립
과천과학관 전시연구단장 한형주 △미래인재정책국장 황판식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