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식
식전
형
양식
제전
공식
방법
뉴스
"
식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얼마나 아픈지 얼굴만 보면 안다…고통 인
식
프로그램 등장
2015.06.01
고통이 심해 여러 부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표정이 변화하면 점수가 높게 책정되는
식
이다. 연구팀은 사람에 따라서 고통에 반응하는 정도가 다르다는 점도 감안해 얼굴을 20시간 정도 촬영한 다음, 표정 변화 패턴을 읽어내는 기법을 사용했다. 맹장수술을 받은 5~18세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 ...
탄수화물은 뇌에 정말 나쁠까요?
2015.05.31
담앤북스 제공 ■ 행복 뇌 접속 (릭 핸슨 著, 담앤북스 刊) 하루를 돌이켜보는 밤 시간에 종종 ‘이불킥’을 하게 되는 날이 있다. 이 ... 의견은 색다르게 다가온다. 저자는 뇌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 중 음
식
을 올바르게 먹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며 한번 더 강조한다. ... ...
장수하려면 저단백-고탄수화물? 고단백-저탄수화물 아니고?
2015.05.31
식
이요법을 장기간 지속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는데 반해 저단백질-고탄수화물
식
사는 장기간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며 “이번 연구는 쥐를 대상으로 8주라는 단기간에 진행했기 때문에 사람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05.29
감시하고 진앙의 위치, 규모 등을 분석한다. 역시 P파와 S파의 속도차를 이용하는 방
식
이다. 관측소에서 하루 동안 만들어지는 정보의 양은 1TB(테라바이트)가 넘는다. 이중에서 지진 신호만을 골라내 분석하려면 고도의 컴퓨터 알고리듬이 필요하다. 신진수 지질연 지진연구센터 실장은 “현재 ... ...
“아이 빌리브 아 캔 플라이(I believe I can fly)”
과학동아
l
2015.05.29
이마에 박힌 보석을 석굴암 한쪽 구석에 숨겨 놔 사용자가 관람하다가 직접 찾게 하는
식
이다. 보석을 원래 자리에 돌려놓는 순간 동해에서 해가 떠올라 불상을 비춘다. 엑스포 조직위원회는 석굴암을 시작으로 향후 신라시대 유적, 이스탄불 성소피아성당,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등을 가상현실로 ... ...
차세대 반도체 상용화 성큼… 신호 손실 없는 ‘스핀전자소자’ 개발
2015.05.28
시계방향이면 0, 반대방향으로 돌면 1로 인
식
하는
식
이다. 즉 전자 하나를 1비트로 인
식
하게 만들 수 있어 기존 반도체 기술의 한계를 깰 수 있는 기술로 꼽힌다. 그러나 전자의 스핀은 제어하기 어려워 상용화 수준에 도달하기 어려웠다. 스핀 정보를 전압으로 제어하고 전기신호로 바꿔야 ... ...
핫~ 뜨거! 재빨리 손 떼게 만드는 유전자 발견
2015.05.26
피하도록 경고한다. 뜨거운 냄비에 손이 닿았을 때 재빨리 손을 떼 큰 화상을 예방하는
식
이다. 하지만 극히 일부 사람들은 아픔을 느끼지 못하는 ‘무통증’에 시달린다. 제옵 우주 영국 케임브리지대 의학연구소 교수팀은 PRDM12 변이유전자가 통증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그 결과를 ... ...
50배 더 또렷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나온다
2015.05.25
여러 가지 색의 빛을 펼쳐 놓은 후, 나노 구멍을 이용해 그 중 한 개를 골라서 사용하는
식
이다. 이 교수팀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정도 크기였던 픽셀을 수 마이크로미터까지 줄일 수 있을 걸로 보고 있다.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초고해상도 ... ...
인간은 정말 뇌의 10% 밖에 사용하지 못할까
2015.05.25
인간을 흙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사람과 흙은 구성성분의 비율은 달라도 거의 일치한다는
식
이다. 할머니가 들려주던 옛날이야기가 그렇듯, 그리스 로마신화도 당시의 생활과 문화가 반영된 과학이라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또 저자는 신화에 빗대어 과학기술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 ...
“저는 웜홀이 있다고 믿습니다”
2015.05.20
연결하는 지름길인 웜홀은 우주에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어렵다. 강한 중력 때문에 순
식
간에 어그러져 닫혀버리기 때문이다. 손 교수는 영화 주인공 쿠퍼와 동료들이 20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은하까지 웜홀을 통해 무사히 갈 수 있도록 이론적 배경을 만들어 줄거리의 진행을 도왔다. 그렇다면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