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3,897건 검색되었습니다.
막연한 꿈은 그만. 구체화하라
과학동아
l
201204
않은데 국제중에 가서 고생했잖아. 수학, 과학 준비가 완벽하지 않은데 영재고에 가는
건
욕심이야. 너처럼 장점이 많은 학생이 그럴 필요 없어. 자기 장점을 살릴 수 있는 곳으로 가는 것이 좋아. 괜히 영재고에 가서 공부 뒤쫓아 가느라 책도 못 읽고 반장도 못하는 것보다 너를 알아주고 기회가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04
이 꿈을 실현시키려고 오랫동안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정부를 설득했다.꿈이 이뤄진
건
무려 40여 년 뒤였다. 1990년 4월 24일에 발사된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호에는 최초의 우주망원경인 허블우주망원경이 실려 있었다. 우주 팽창을 뒷받침하는 증거인 적색편이를 발견한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04
관련이 있다는 의미다.미세구조 상수가 가장 기본적인 상수 중 하나로 등극한
건
물리학에서 가장 성공한 이론 중 하나로 꼽히는 양자전기역학(QED)이 등장하면서부터다. 양자전기역학은 전자기적 현상을 양자역학적으로 풀어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α 값이 달라지면 우리 우주의 핵심적인 특성들에 ... ...
너 자신을 알면 연애가 힘들다
과학동아
l
201204
나쁜 놈이 되는 것만은 피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소년이었습니다.그렇다고 해서 좋은
건
아니었습니다. 자기객관화가 심할수록 연애의 만족도는 떨어졌습니다. 아무래도 자신의 외모를 객관적으로 보면 만족도와 자신감이 떨어진다는 뜻입니다. 상대객관화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자기를 얼마나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04
못한 걸까?출항 5분 전, 항구 앞 작은 식당에서는 확률게임이 한창이다. 카드에 운명을
건
젊은이들의 목적은 타이타닉 호의 3등석 티켓을 손에 쥐는 것! 마지막 카드와 함께 운명의 주사위는 던져지고, 행운의 여신은 가난한 노동자였던 잭 도슨의 손을 들어 준다. 3등석이 뭐 대수랴, 행운을 차지한 ... ...
숫자 4는 언제나 현재진행형!
수학동아
l
201204
가지 경우 중 단 두 가지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첫 번째 가로줄이 결정되면 조
건
에 맞게 나머지 칸을 채우는 경우가 단 2가지뿐이므로, 모든 경우의 수는 (4!)²×2=1152가 된다.숫자 4는 숫자와 전혀 상관없는 한자의 죽을 사(死) 때문에 피해를 입어왔다. 엘리베이터에도 당당히 쓰이지 못하는 ... ...
달콤함이 가득 달달공장의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4
더 오래 보관할 수있는 이유죠. 또 오래 보관하면 하얀 설탕이 조금 노랗게 변해요. 이
건
설탕 속에 조금 남아있는 아미노산이 노란색으로 변한 것일 뿐 설탕이 상한 것은 아니랍니다. 물론 설탕도 습기가 많은 곳에 보관하면 상할 수 있으니 조심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04
이렇게 데이터로 된 근거는 기업이 어떤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사
건
이 아닌 일반적인 글도 여러 예측이나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요한 볼른 인디애나대 교수는 미국의 트윗 약 100만 개를 수집해 6개의 감정으로 분류한 뒤 시간 별로 추적해, 미국 주가를 87.6%까지 정확하게 예측하는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
과학동아
l
201204
사회학과의 매리 월쇼크 교수는 과학자들을 끌어들이는 경쟁력 있는 과학도시의 요
건
으로 세 가지를 꼽고 있다. 첫 번째는 자유로운 연구 분위기다. 양승우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과학동아’ 1월호 기고문에서 “도시는 혈연이나 지연에 의해 만들어진 관계가 아니라 서로의 목적이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04
.하지만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의 발견이 고인류학 역사에 큰 획을 긋는 사
건
이 된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바로 두 발로 걷는 특징, 즉 직립보행이 큰 두뇌보다 인류 진화 역사에서 먼저 등장했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입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의 두뇌는 침팬지 정도 크기에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