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3,28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07
사고체계에 의해 개념이 형성됐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논의가 이뤄졌는지를 학생들에게
전달
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큰 안목을 갖고 자신의 전공분야를 바라볼 수 있게 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최근에도 논문을 계속 쓰신다고 하셨는데요. 앞으로의 계획은 어떠십니까?”“수학의 ... ...
소리
전달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07
연구진이 초파리 유전자 실험을 통해 소리를 신경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
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와 단백질을 발견하고 그 작용과정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대덕연구단지 내 한화석유화학 중앙연구소의 김창수 박사팀은 초파리에서 소리를 청각세포신호로 변환시키는 유전자를 발견,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07
반응 등 생리활동을 측정하고 그 활동을 이해하기 쉬운 정보(情報)로 변환시켜 생체에
전달
하는 조작 혈압 · 심장박동 · 피부온도 · 근긴장(筋緊張) 등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생리활동이나 뇌파(腦波)는 큰 변화를 제외하고는 자기의 의지로 강하게 혹은 약하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등의 제어를 ... ...
3 근육 단백질로 100% 효율의 모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07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연구의 주요 목표는 약리학적으로 적절한
전달
속도와 양을 특정 신체부위에 방출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인류의 건강과 풍족한 먹거리, 그리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산업이 미래의 최적 산업으로 각광받을 것이 자명하므로, 나노기술과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07
물론 인지과학도 마이크론(10-6m) 단위의 신경세포에서 나노 수준의 구체적인 생체
전달
분자로 내려와 있기도 하다.인지과학과 첨단과학기술의 만남이 보여주는 미래상은 SF소설과도 같다. 보고서에는 NBIC가 인간의 수행능력 향상이라는 기본 목적뿐 아니라 과학기술을 포함한 사회, 경제 등에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07
도파민 수용체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도파민은 약물에 대한 감수성을 담당하는 신경
전달
물질이다. 이 수용체에 이상이 생기면 약물 중독에 빠질 위험이 있다. 하지만 도파민 수용체 형성에 미치는 DRD 2 & 4의 역할은 극히 미미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업체는 이 유전자의 이상 ... ...
노안 부르는 수정체 변화
과학동아
l
200307
있도록 뻗어있지 못하고 처진다. 그래서 모양체가 모양소대에 가하는 힘이 수정체까지
전달
되지 않는다. 그 결과 수정체의 두께가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 노안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헬름홀츠 박사와 샤카 박사의 두 가설 모두 노안에 대해 완벽하게 설명하지는 못하고 있다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07
근적외선 영역의 광원, 측정된 광의 분석을 위한 실시간 분광광도계(spectrometer), 광을
전달
하기 위한 광파이버, 그리고 과일을 이송하기 위한 캐리어 등으로 이뤄진다. 광원의 경우 일반적인 조명용 광원은 가시광선의 특성이 강해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주로 가시-근적외선 영역의 특성이 좋은 텅스텐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06
한몫을 한다. 대상의 형태나 크기에 대한 정보는 눈의 망막을 통해 시신경을 타고 뇌로
전달
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필연적으로 정보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심리적 요인이 작용한다. 즉 대상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개인의 사고과정과 심리상태에 따라 착시현상이 ... ...
생명공학이 주무르는 맛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06
미국 뉴저지주의 링구아겐이라는 생명공학회사는 2002년 11월에 쓴맛을 신경세포로
전달
해 뇌가 쓴맛을 느끼도록 만드는 채널단백질인 ‘Trpm5’를 발견했다고 과학전문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보고했다. 그리고 2003년 1월 23일에는 쥐를 이용해 쓴맛을 내는 물질의 작용 방식을 연구한 결과,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