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d라이브러리
"
공개
"(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모았다. 이 가운데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 명예연구원인 장순근 박사가
공개
한 유물로 다윈이 수집했다는 타조 알껍데기가 눈에 띈다.또 다윈전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큰 거북이자 멸종 위기종인 갈라파고스 거북을 박제로 만날 수 있다. 국내에서 유일한 갈라파고스 거북 박제!다윈의 ... ...
종이 없는 지구의 주인, 전자문서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있으며 인터넷뱅킹 같은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공개
키기반 방식은 전자서명법에서 규정하는 유일한 기술이다.중요한 전자문서 대신 보관해드려요~오후 1시, 은행에서 계좌를 개설할 때 종이신청서 없이 무사히 할 수 있을까? 계좌를 신청할 때 필요한 도장은 어디에 ... ...
반짝반짝~ 별들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가서 확인해 봐요.✽이 사진들은 허블망원경이 관측 활동을 시작한 지 18주년을 맞아
공개
된 것들입니다. 더 많은 사진들은 http://hubblesite.org/에서 볼 수 있습니다.저랑 춤추실래요? NGC 5257처녀자리에 있는 두 개의 나선은하가 서로 만나기 위해 팔을 쭉 뻗었어요. 마치 남자와 여자가 춤추기 전에 서로 ... ...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이들이 만든 놀라운 생명체는 1988년 스위스의 오락 프로그램인 ‘슈퍼트레퍼’에서
공개
돼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이 방법은 치바가이기의 명의로 특허까지 받았지만 과학계의 지지를 얻지는 못했다. 이런 현상을 ‘과학적으로’ 설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1990년 에프너 박사가 ... ...
[천문]거대한 두 은하단의 합병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은 암흑물질의 정체를 밝히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은하단의 사진을 8월 27일 홈페이지에
공개
했다.우주에서 눈에 보이는 물질보다 훨씬 많다고 추정되는 암흑물질은 1930년대 존재가 처음 알려졌지만 아직까지 정체가 베일에 싸여 있다. 질량을 갖고 있지만 어떤 빛도 내지 않아 관찰하기 어렵기 ... ...
조선 명가(名家) 자존심 지켰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깐깐한 로이드그룹의 눈에도 김 교수의 유탄성 연구 제안은 매력적이었다. 당시
공개
경쟁 심사에 참여하지 않았던 로이드그룹의 무어하우스 회장은 훗날 김 교수의 유탄성 연구 발표를 들을 기회가 있었는데, 그 자리에서 “나이가 너무 어린 사람이 1등을 차지했다고 하길래 의아했다”며 ... ...
금고의 돈이 깜쪽같이 사라졌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있는 무늬가 있지요.”닥터고글은 흰개미가 바퀴벌레와 친척이라는 놀라운 사실을
공개
했다. 흰개미와 바퀴벌레는 약 2억 년 전에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것!“흰개미는 햇빛이 들지 않고 습기 찬 목재에 집을 짓고 다른 개미처럼 살아요. 주로 따뜻한 지역에 많이 사는데 그 종류가 2000종이 ... ...
[천문]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에 호랑이 줄무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포함한 옅은 대기가 있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진 천체다.이번에
공개
된 사진은 지난 8월 11일 카시니가 시속 6만 4000km의 속도로 엔셀라두스에 근접 비행할 때 찍었다. 엔셀라두스 표면에는 ‘호랑이 줄무늬’ 같은 좁고 긴 협곡이 또렷하게 보이는데, 과학자들은 깊이가 300m에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거쳤다. 영화를 찍기 위해 제작한 화차는 총 5대. 이 장비들은 영화 개봉 뒤 일반에
공개
할 예정이다.큰그림 보러가기물론 제작사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완벽한 과학적 복원과는 차이가 있다. 화차의 모습은 과거 그대로지만 신기전의 발사대인 신기전기는 화면에서 웅장해 보이도록 실제보다 ... ...
자기조립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레터’(APL)에 발표한 논문 등 그 동안의 연구 결과를 발표한 시점이 도일 교수팀의 특허
공개
일보다 하루 빠르다는 사실을 알려 오해를 풀었다. 권 교수는 “MIT 그룹에 2번이나 ‘우선권’을 뺏겼는데 이번에 소중한 1승을 거뒀다”고 말했다.내 꿈부터 찾는 일이 우선그가 ‘어린’ 나이에 성공할 수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