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지막"(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아종보다 더 오래 고립돼야 나타날 새로운 종 역시 인간에게는 해당되지 않습니다.마지막으로 또다른 현실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종이든 아종이든, 현실적으로는 추적이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같은 종인지 아닌지 알기 위해 개체 하나하나를 직접 교배시켜볼 수 있을까요. 불가능합니다. 시간과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기술 경제 흐름을 살피는 것과 함께 영어 공부에도 도움이 된다”고 더붙였다. 전 이사는 마지막으로 외국계 회사에서 일하고 싶은 인생 후배들에게 “외국계 기업에서 일하면 넓은 경험을 할 수 있으며, 열심히 하면 본사서 일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진다”고 전했다. 외국계 기업도 국내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쓴 이란 책을 추천했다. 다음과 같은 책의 한 구절을 인용하며, 마지막으로 히로나카 박사처럼 유쾌한 사람이 되길 당부했다. “수학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마다 나는 ‘난 바보니까’를 중얼거린다. 어차피 나는 바보니까 못하는 것은 당연하고, 할 수 있으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면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직접 구체적으로 본다는 것은 이렇게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정이에요.”마지막으로 건축을 전공하려는 학생에게 필요한 덕목은 무엇이 있을지 물었다. “자신이 뭘 좋아하는지 알았으면 좋겠어요. 그냥 잘 알 수는 없어요. 세심하게 학습해봐야 합니다. 직접 해봐야 크더라 작더라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역사학 같은 학문을 공부하는 게 정말 대학 같았어. 대학원도 신학과를 가려고 했다가 마지막에 생화학과 대학원에 원서를 냈지.”이 관장은 친구 중에 아버지가 별을 보여주고, 삼촌이 과학 이야기를 해줬다는 말을 들을 때 참 부러웠다고 했다. 그런 기억이 전혀 없어서다. 그저 성적 따라서 오다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설파제와 페니실린 등 항균제 및 항생제가 발견돼 수술 후 감염의 위험도 크게 줄었다. 마지막으로 인체의 면역기능이 밝혀지면서 다른 사람의 조직이나 장기를 이식받을 수 있게 됐다. 이 결과 외과의사의 손은 환자의 뱃속은 물론 이전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심장과 폐 등의 흉강, 그리고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걸 걸림돌이라고 생각하느냐, 과정의 일부로 여기느냐는 자신이 선택하는 거지요.”마지막으로 조 대표는 융합적인 사고를 주문했다. 전기자전거 회사를 운영하기까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학문은 수학과 과학, 영어였지만, 결국 좋은 제품을 만들어 팔기 위해서는 경영학, 소비자심리,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섰다. 한 소녀가 다가와 “어디로 가느냐(Where are you going)”고 묻는다. 센터로 돌아와 마지막으로 열대바다를 바라보는데 소녀의 질문이 계속 귓가에 아른거렸다. 이곳에는 박 센터장을 비롯해 젊음을 불태우고 있는 사람들이 여럿 있다. 그들은 어디로 가고 있는 걸까. 박 센터장이 언젠가는 이곳을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성공했다. 이로써 힉스 메커니즘은 엄연한 사실로, 힉스 입자는 표준모형의 17번째이자 마지막 기본 입자로 인정을 받았다. 이 때문에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힉스와 관련한 과학자들이 받을 것이라고 예측하는 학자들이 많았다.이번 수상은 노벨상의 ‘잃어버린 고리(미싱 링크)’를 연결한 ... ...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년 10호
- 과정을 거꾸로 생각해 보자. 먼저 13개의 바둑돌을 다음과 같이 4개씩 나눠 보자. 이때 맨 마지막에 남은 한 개의 돌을 B가 가져가야 A가 이긴다. 바둑돌을 최소 1개부터 최대 3개까지 가져갈 수 있으므로, B가 처음에 2개를 가져갔다면 A는 B가 가져간 바둑돌과 더했을 때 4가 되는 바둑돌, 즉 2개를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