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빙하 감시단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있어서 전 세계 과학자들이 주목하는 지역”이라고 설명했어요. 이어 “서남극 얼음이 모두 녹아 바다로 유출되면 전 세계 해수면이 5.28m 상승하는데, 그중 스웨이츠 빙하는 0.65m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지요. 이는 빙하가 녹으면 해안가에선 침수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단 ...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제작했다고 한다. 선물은 문제가 기발하기로 유명한데 2주 혹은 3주마다 동아리 회원이 모두 모여 새로운 문제의 아이디어를 공유했고, 맥락 없는 문제를 지양하기 위해 열띤 토론을 펼치기도 했다. 이후엔 5명씩 팀을 짜 디자인과 웹 페이지 제작, 이야기 등을 만들었다. 그렇게 꼬박 1년에 걸쳐 미궁 ...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상대적으로 작다고 볼 수 있죠. 그러나 천문학자가 우주에 분포하는 수많은 나선은하를 모두 관찰하기는 역부족입니다. 그래서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이용해 나선은하 사진에서 피치 각을 자동으로 계산하려고 시도해봤습니다. 하지만 아직 나선팔이 어디서 시작해 어디서 끝나는지 인공지능이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AI), 로봇 기술 등을 취재했는데, 핵융합 에너지와 크게 관계없어 보이는 기술들이 모두 융합돼 핵융합 발전을 완성한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유두호 디자이너가 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했으니, 미래 에너지 연구자를 꿈꾸는 독자가 참고한다면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해나가야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실험 기간과 정비 및 준비 기간을 분리해 운영하는 만큼, 정해진 기간에 계획했던 실험을 모두 마치기 위해 연구원들은 끼니도 잊고 실험에 열중했다.김 부장은 “한국의 핵융합 기술 역사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수십 년 이상 짧지만, 훌륭한 연구원들과 뛰어난 장치 덕에 이들과 어깨를 ...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알 내부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GPS-GSM 송신기를 탑재했다. GPS-GSM 송신기는 실외와 실내 모두에서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진짜 알과 무게를 비슷하게 맞추기 위해 가짜 알 내부의 빈 공간은 실리콘 고무로 채웠다. 연구팀은 가짜 알이 진짜 알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도 실험을 통해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자기 주도적 방학 계획 세우기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잘하고 싶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학생, 수학 점수를 좀 더 올리고 싶은 학생 모두에게 필요한 수학 학습의 ‘꿀팁’을 연재합니다. 여러분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요! 저는 방학이 시작되면 일과표를 만드느라 하루를 다 써버리기도 했습니다. 하루를 30분 단위로 쪼갠 동그란 원 안에 ...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나왔습니다. 이후에도 수많은 연구자가 상온 핵융합에 성공했다는 연구를 발표했지만 모두 거짓임이 밝혀졌죠.사실 상온 핵융합은 이론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두 개의 핵이 융합하기 위해서는 강한 전기적 반발력을 이겨내야 하는데, 상온에서는 이뤄질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걸린다. 그가 더 놀랐던 부분은 대회에서 1, 2, 3등을 차지한 팀이 제출한 알고리즘이 모두 트랜스포머 기반이었다는 사실이다. 이 선임연구원은 “내 알고리즘의 성능이 뒤처진다는 게 개발자로서 속상했지만, 한편으로는 오기도 생겼다”면서도 “이 대회를 통해 고집을 부리면 안 된다는 교훈을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올린다면 그만큼 충돌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스페이스X는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을 모두 대기권으로 추락시켜 없앤다는 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최 책임연구원은 “인공위성 발사가 점점 더 많아지기 때문에 위성의 충돌 위험이 앞으로 약 5배 정도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은 이미 나와 있었다”며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