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측정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블랙홀 질량을 태양 질량의 410만 배로 수정한 결과를
발표
했다. 이 보이지 않는 천체가 블랙홀이 아닐 가능성도 있을까. 가령 410만 개의 별이 밀집해 있다고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능성이 높지 않다. 밀도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Sgr A*에 다가가는 S0-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크레이터에 전파망원경을 건설하자는 ‘달 크레이터 전파망원경(LCRT)’ 아이디어를
발표
했어요. 전파망원경은 파장이 긴 전자기파인 전파를 관측하는 망원경으로, 안테나처럼 수신기에 전파 신호를 모으지요.지금까지 만들어진 가장 큰 단일 전파망원경은 중국의 ‘톈옌’이에요. 지름만 500m에 ... ...
[쇼킹 사이언스] 물속에선 내가 왕! 스피노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꼬리를 이용해 물속을 헤엄치며 생활했을 거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
했거든요.연구팀은 지난 2008년 북아프리카 모로코 남쪽에 위치한 켐켐 지층에서 발견된 스피노사우루스의 화석에 주목했어요. 이 화석은 지금까지 발견된 스피노사우루스 뼈화석 중 가장 보존이 잘 된 것으로 ...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박소원 박사 연구팀, 그리고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김진수 박사 연구팀이 지난 5월 11일
발표
한 연구 결과예요.식물은 광합성을 할 때 잎의 기공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여요. 이때, 뿌리에서 물관을 통해 잎으로 온 물의 일부가 잎의 기공에서 바깥으로 나가지요. 이를 ‘증산작용’이라고 ... ...
[특집] 모든 물체는 종이접기로 만들 수 있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대상 이미지를 입력하면 종이접기로 만들 수 있게 도면을 그려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발표
했습니다. 그보다 훨씬 전인 1999년에도 연구팀은 비슷한 프로그램을 선보였습니다. 하지만, 이때는 매우 길쭉한 종이로 접는 것이어서 진정한 종이접기라고 보기 어려웠습니다. 마치 긴 리본을 물체에 두른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펜타곤이 연 새로운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타일링을 따르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다 셰흐트만 교수가 준결정 구조를 학계에
발표
했고, 이를 접한 미국의 이론물리학자인 폴 스타인하트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가 펜로즈 타일에 원자를 배열했을 때 나타나는 회절무늬를 계산해 준결정이 펜로즈 타일링과 같은 구조라는 사실을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1화.
발표
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저도 그런 기회를 통해
발표
를 몇 번 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했던
발표
중 가장 재밌었던 건 2018년 영국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에서 했던 ‘영국 수학 콜로퀴움’입니다. 그때 ‘스피드 렉처’라고 해서 5분이라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자신의 연구 주제와 결과를 소개하는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출발점은? 독창적인 질문! (44p)☞바로가기과학계 축제라고 불리는 노벨과학상 수상자
발표
가 있었습니다. 총 8명의 과학자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는데요. 이들은 하나같이 남들이 하지 않는 독창적인 질문을 던졌습니다.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는 간염 환자들을 돌보다 ‘수상한 간염 바이러스의 ... ...
[한페이지 뉴스] ‘빗물이 산을 깎는다’ 숫자로 증명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수치로 뒷받침하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0월 16일자에
발표
했다. doi: 10.1126/sciadv.aaz3166연구팀은 네팔과 부탄 경계에 있는 히말라야 산맥 동부에 있는 강에서 퇴적물을 채취해 베릴륨 동위원소(10Be)의 비율을 측정했다. 베릴륨 동위원소는 우주선(cosmic ray)이 지표 물질과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애널리틱스가 단 한 명도 맞추지 못했다. 9월 23일 2020년 피인용률 우수 연구자 24명을
발표
했고, 여기에는 균일한 나노입자 대량 합성법을 개발한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가 포함돼 화제를 모았으나, 24명 모두 올해 수상자에 들지 못했다. 펜들버리 수석부석연구원은 “우리가 뽑은 후보자는 꼭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